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르네상스 소설에서의 복장전도가 갖는 상징적 의미 (A Symbolic Sense of Transvestism in the Renaissance Novel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0.04
32P 미리보기
르네상스 소설에서의 복장전도가 갖는 상징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19권 / 149 ~ 180페이지
    · 저자명 : 임주인

    초록

    마리아 데 사야스와 셰익스피어, 그리고 마수치오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여성의 남장은 사랑에 빠진 여성상이나 여전사적인 여성상을 의미하는 두 가지 경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그 뿐 아니라, 남녀의 이분법적인 구분과 경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세 번째”로서 남성 중심적인 카테고리에 대한 도전적 의미를 지니며 사회적 인습과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독립된 자아와 인격으로서의 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르네상스 시기, 사회에서 타자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여성들이 문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중세를 지나 르네상스로 바뀌면서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여성은 기존의 질서와 체제에 대한 위협인 동시에 도전의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런 시각에서 볼 때, 르네상스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의 복장전도는 사회 정체성의 문제와 관련되어 진다. 눈에 보이는 것이 그 인물의 정체성이라면 베아뜨리스와 포오샤, 그리고 토르네시 아내의 진정한 정체성은 무엇인가. 이 인물들의 진정한 정체성은 결말에 가서 밝혀진다. 이들의 남장은 내부의 정체성과 사회적 외부의 정체성 사이에 괴리를 만들어내고 이러한 괴리는 사회의 전통과 인습으로부터 탈피하여 진정한 자아 정체성을 꿈꾸는 여성의 속임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토르네시 아내의 남장은 내부의 정체성을 숨기기 위한 수단이었지만 이로 말미암아 결국 남편 자신이 속임을 당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맞게 되어 ‘명예의 코드’라고 하는 사회적 외부의 정체성만을 강조하는 남성을 농락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베아뜨리스와 포오샤의 복장전도의 차이점을 지적하자면, 전자의 복장전도는 결혼을 통한 아내의 명예회복이라는 17세기 당시의 사회적 명예의 코드에 따라 갈등이 해결된 뒤에도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위치, 아내로서의 자신의 사회적 위치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에 반해서 후자의 경우는, 안토니오의 재판이 끝난 뒤에 다시 바사니오의 아내로 돌아가게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두 여주인공 모두 진정한 정체성 대신에 다른 정체성을 선택하는 속임수를 보이지만 결말에 가서는 다시 질서가 회복된다. 페스트가 창궐하면서 성녀 마리아로부터 병을 치료할 능력을 부여받은 베아뜨리스가 헝가리 국왕을 살려내고, 극도의 혼란에 빠진 사회를 안정시켜 나가는 것은 비록 그 의미에는 차이가 있지만 사회 질서의 회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의 질서의 회복은 인문주의적 영향을 받은 당시 작가들의 눈에 비친 여성에 대한 성차별은 부당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가부장적 사회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였던 당시 사회의 일반적인 통념을 우회적인 방식으로 부당성을 고발하면서 휴머니스트적 시각에서의 질서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concerned abou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transvestism Renaissance perspective through analysis of Triumph Over Persecution work and The Merchant of Venice, and Jealous Ioan Tornese. The transvestism is frequently present in the comedies of the golden age. A woman author Maria de Zayas has a special interest in female identity with critical and defying view. Also the subject of the transvestism in Spanish literature originated in Italian tradition. In Italian literature, there were two types of disguised women, who urge for love and warrior-heroine(amazon). Both types are also listed in Spanish literature. The dress-crossing heroine of Triumph Over Persecution displays a type of heroine, who corrects a male prejudice and reset a harmonious order. Shakespeare is also one of the Renaissance writers under the influence of the Italian Renaissance novel. Heroine of Merchant of Venice symbolizes a triumphant challenge against the blocks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spite of the social system blocks, cross-dressing women may receive in the patriarchal scenes without problems. Based on the notion of paradox and irony, the Italian novel reflects popular psychology of the time when the link between the internal identity and social outside puts into question. The cross-dressing Torneses' wife, symbolizes the mockery or renaissance deception. Their deception emphasis on an ironic way in the point view of inhuman man who consider women material belongs to the man without any free-will. The costume of the characters make it possible to change their original identity into the other.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say that the transvestism in these works could be interpreted in two ways: first, the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categories of women's identity and second, the burlesque contempt on the patriarchal renaissanc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