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正統朱子學者의 현실인식과 학문적 대응 -四養齋 姜浩溥(1690~1778)의 저술을 중심으로- (Reality Recognition and Academic Response of an 18th—Century Orthodox Neo—Confucian—Writings of Kang Hoboo)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8.12
57P 미리보기
18세기 正統朱子學者의 현실인식과 학문적 대응 -四養齋 姜浩溥(1690~1778)의 저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1호 / 477 ~ 533페이지
    · 저자명 : 구만옥

    초록

    조선후기 西人—老論系를 대표로 하는 朱子道統主義者들은 兩亂 이후의 급격한 사회변동과 그에 따른 정치ㆍ경제ㆍ사회적 모순을 朱子學을 이념적 좌표로 삼아 보수ㆍ개량하고자 하였다. 宋時烈 이래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西人—老論—湖論系의 사상적 지향은 대개 그런 것이었다. 姜浩溥는 18세기에 바로 이와 같은 흐름의 중심에 서 있었던 인물이다. 그의 학문적 목표는 宋時烈→權尙夏→韓元震으로 이어지는 노론—호론계의 학문적 성과를 계승하면서, 그 연장선상에서 ‘守師門說’을 바탕으로 각종 異端ㆍ異說을 辨斥하고 ‘朱子定論’을 확립하는 데 두어졌다.
    그것은 크게 두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하나는 다종다양한 주자의 문장과 언설을 분류ㆍ종합하여 주제별로 정리하고 주자 학설의 ‘初晩同異’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朱子定論’을 확립하는 작업이었고, 다른 하나는 이와 병행하여 주자학에 조금이라도 비판적이었던 일체의 논의를 조목조목 비판ㆍ배격하는 것이었다. ‘朱子定論’을 확립하는 작업은 스승 韓元震과의 학문적 토론을 통해, 주자학과 다른 경전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통해 차근차근 준비되었으며, 그 최종적인 성과물이 바로 『朱書分類』였다. 그는 여기서 『朱子大全』과 『朱子語類』의 각종 논의들을 綱目에 따라 분류ㆍ정리함으로써 학자들로 하여금 주자학의 주요 담론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異端ㆍ異說에 대한 비판 작업은 주자학에 비판적이었던 일체의 학문 경향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陽明學이나 佛敎처럼 이전부터 이단으로 치부되었던 학문ㆍ사상ㆍ종교는 말할 것도 없고, 조선후기에 유행하고 있던 西學, 東林派와 같이 朱子學과 陽明學을 절충하려 했던 시도들까지 철저하게 비판하였다. 강호부는 明代의 來知德, 顧憲成, 高攀龍 등의 저술에 대해 축조적으로 검토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서인—노론계열 학자들 가운데 李縡나 金昌緝처럼 湖論系의 논의와 다른 주장을 전개했던 洛論系 학자들의 저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분석을 가했다. 이와 같은 강호부의 작업은 주자의 학설과 다른 일체의 논의에 대한 비판이었고, 그것은 ‘주자정론’을 확정하려는 학문적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학문적 검토를 바탕으로 강호부는 자기 나름의 경세론을 전개하였다. 그의 경세론은 주자학을 이념적 모델로 삼아 주희가 제시한 방향에 따라 조선후기 사회모순을 수습하고자 했던 노론—호론계의 국가운영 방략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강호부는 당시 조선의 현실을 ‘垂老之人’에 비유하면서 更張과 變法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가 추구하는 경장과 변법의 방향은 점진적 개혁 내지 改良ㆍ改善이었다. 강호부는 李珥의 논리에 따라 國是를 확정하고 名分을 바르게 하는 것을 경장의 전제 조건으로 거론하였고, 주희의 『儀禮經傳通解』를 경장의 모델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강호부의 경장론은 주자학의 범주 안에 포괄되어 있었다.
    요컨대 강호부는 노론—호론계의 전형적인 정통주자학자였다. 그의 학문관과 경세론을 통해 추론할 수 있듯이 노론—호론계는 朱子와 朱子學을 절대화하는 朱子道統主義를 이념적 기반으로 하여 보수개량 노선의 경장론을 전개하였다. 그것은 兩亂 이후의 사회 변동으로 동요하고 있던 조선후기 사회를 중소지주 계급 출신의 양반 사대부 입장에서 재조정하려는 시도였다.

    영어초록

    Chu—tzu Dotong Theorists represented by Seoin—Nor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struggled to rectify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tradictions brought by the rapid post—war social changes, using Neo—Confucius ideological teachings. Their efforts followed the streams of thought of Seoin—Noron—Horon since Song Siyeol upto the 19th Century. Kang Hoboo was the central figure of that stream in the 18th Century. His academic goal was to succeed achievements of Song Siyeol→Kwon Sangha→Han Wonjin, to remove various unconforming theories including Susamunseol, and to establish the orthodox theory of Master Chu.
    Kang Hoboo pursued his endeavor in two ways: First, he surveyed and collected various writings and speeches of Chu Hsi to organize them by subjects and established the orthodox theory of Master Chu by eradicating differences found amongst them. This was enabled by discussions with his master Han Wonjin, which was resulted in the Categorized Topics of Neo—Confucianism. In this book, Kang reorganized Chu—tzu ta—chuan(Complete Works of Master Chu) and Chu—tzu yu—lei(Classified Conversations of Master Chu) by the themes, and therefore helped other intellects to understand major discourses of Neo—Confucianism.
    Second, Kang tried to criticize and denunciate all criticism on Neo—Confucianism. His targets included not only the unconforming beliefs of Yangmyonghak(Yangming-Xue) and Buddhism, but also Seohak(Western Learning) and Tung—lin(Donglin) attempts of compromising Neo—Confucianism and Yangmyonghak. Kang examined works of Lai Zhide, Ku Xiancheng, and Kao Panlung of Ming Dynasty article by article, and also criticized Nakron line scholars, namely Lee Jae and Kim Changjib, the fellow Seoin—Noron who differed from Horon line.
    Through these academic research, Kang developed his own administrative strategies. His case shows a good example of governing ideas of Noron—Horon who attempted to finish social problem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adopting ideological models of Chu Hsi. Kang compared the reality of Joseon to the status of ‘an old man' and argued the need of reform and rectification. He proposed a gradual improvement following the model of Chu Hsi's Comprehensive Exegesis of the Test of and Commentaries on the Yi—Li(儀禮經傳通解).
    In sum, Kang Hoboo was a typical orthodox Neo—Confucius of the Noron—Horon line.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administrative methodologies represented the Chu—tzu Dotong Theory which bestowed an absolute trust to Mater Chu Hsi. These efforts were an attempt to readjust the turbulent late Joseon society from the position of Yangban Sadaebu from medium—small landowner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