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유역의 취락과 교통로에 대한 검토 - 기원전 2세기~기원후 6세기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Settlements and Traffic Routes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 Focusing on 2nd Century B.C. - 6th Century A.D.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02
28P 미리보기
영산강유역의 취락과 교통로에 대한 검토 - 기원전 2세기~기원후 6세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43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정일

    초록

    본고는 영산강유역의 마한 취락의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고 취락 내의 다양한 인적, 물적 교류를 가능하게 한 교통로에 대해서 시론적인 측면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영산강유역 마한사회의 독특한 문화 와 외부문화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과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영산강유역 마한 취락은 주거형태, 유물의 변화과정, 토기생산, 외부문물 유입 등을 통해 총 5단계로 구분 하였다. Ⅰ기(초현기)는 최신 자료를 통해 기원전 2세기에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는 외부의 선진 문 물의 영향이 있었고 주로 해안가의 포구나 강변에 분포하고 있다. 취락 내부에는 소도(蘇塗) 또는 수레바퀴 등 도로와 관련된 유구가 확인된다. 광주 신창동에는 수레바퀴와 수레 흔적이 동시에 확인되며 주변 7㎞이내 의 취락과 서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 육상교통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취락 Ⅱ~Ⅳ기는 영산강유역 마한계 취락이 형성되고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시기이다. 마한사회의 지역정 치체는 백제, 가야, 왜 등 외부세력과의 교류를 통해 독자성을 성립해 나간다. 지역적으로는 나주, 함평의 중 류지역과 담양, 장성 등 상류지역이 두드러진다. Ⅴ기는 마한계 취락에 백제적인 요소가 두드러지며 상류지역 을 중심으로 대형취락이 등장한다. 광주지역은 동림동유적을 중심으로 한 위성도시가 조성되며 담양, 장성지 역은 전형적인 마한계 집단이 축소되며 백제의 영향을 받은 취락, 무덤자료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백제의 직 간접적인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취락 Ⅴ기에는 도로유구가 급증하는데 특히 영산강상류에 집중된다. 취락 내 에는 거주공간과 창고군을 구분하는 구획구나 도로가 계획적으로 조성되며 취락 간에 물류 네크워크가 작동 하는데 교통로가 이용되기도 한다. 교통로는 취락 뿐만 아니라 무덤, 옹관 생산에도 활용되는데 일부 지역은 백제의 영향을 받아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역 교통로는 전쟁기사, 취락 내 화재 주거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백제 근초고왕 남정기사(369년) 는 동-서, 남-북 교통로, 동성왕 무진주 진출(498년) 기사는 남-북 교통로를 사용하였음을 말해 준다. 이상 과 같이 취락 간 물자이동, 지방과 중앙, 백제의 마한사회 영향 등은 서로 연결되는 혈관과 같은 교통망이 이 미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han settlements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by stages and introduce the traffic routes that allowed the various human and goods exchanges within the settl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the unique culture of the Mahan society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the social changes of the area caused by the inflow of external culture.
    The Mahan settlement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five stages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idence, changes to the heritage, production of pottery, and inflow of external culture. Stage 1 (Beginning Stage) is estimated to be formed in the 2nd century, B.C. according to recent data. During this stage, advanced goods from the external world came into the settlements, and the settlements were mostly focused in the ports or the riverside. There were relics related to roads within the settlement, such as Sodo (sacred place) or wagon wheel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wheels and traces of wagons at the same time in Sinchang-dong, Gwangju,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was a traffic route on land as the traces may be connected to the traces of wagons in settlements within 7 km of the area.
    Stages 2 to 4 were when the Mahan settlement of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was formed and started to develop.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Mahan society started to develop by communicating with external groups including Baekje, Gaya, and Japan. In terms of region, midstream regions including Naju and Hampyeong, and upstream regions including Damyang and Jangseong showed unique traits. Stage 5 was when the Mahan settlements showed characteristics similar to Baekje, and large settlements appeared, focusing on the upstream region. In Gwangju, satellite cities surrounding Donglim-dongSite appeared, and in Damyang and Jangseong, the typical Mahan group became smaller. This is wh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more settlement and tomb-related information that is influenced from Baekje. This can be seen as there wer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from Baekje. In Stage 5 of the settlement, there is a great improvement in roads, especially in the upstream of the Yeongsangang River. Within the settlements, there were blocks or roads planned to divide residential areas or storage spaces, and traffic routes were used to connect the logistics network among the settlements. Traffic routes were used for not only settlements but also creating tombs and earthenware coffins, which is partially influenced by Baekje.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large traffic routes based on the war narratives and burned residential areas within the settlement. The narrative related to the narrative to the South of King Geunchogo of Baekje (369) mentions the traffic routes connecting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north and the east were used. In addition, the narrative related to the entry to Mujin State of King Dongseong of Baekje (498) mentions the traffic routes connecting the north and the south were used. In summary, the exchange of goods among settlements, the formation of regions and the center, and the influence of Baekje on the Mahan society may have been possible due to the traffic routes that connected the settlements like vei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