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의 탈신화화 - 다큐멘터리 <알파고>와 강/약 인공지능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mythologization of AI: With the Analysis of the Documentary AlphaGo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trong/Weak A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9
28P 미리보기
인공지능의 탈신화화 - 다큐멘터리 &lt;알파고&gt;와 강/약 인공지능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64권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윤나라

    초록

    이 글은 동시대 인공지능을 둘러싼 신화에 관해 사유하고 그것을 해체하는 데 목표를 둔다. 2016년 3월에 있었던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은 바둑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전반에 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 대국을 전함에 있어, 대중 매체들은 ‘강 인공지능은 인간의 적이며 인간을 위협한다’는 메시지를 다양한 시청각적 기표들을 통해 매개함으로써 알파고로 대표되는 동시대 인공지능에 관한 신화를증폭했다. 그로부터 대략 4년 반 가량이 지난 지금, 심층 인공 신경망에 기반한 동시대인공지능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미 우리의 일상에 밀접하게 융합되었다. 반면 인공지능을 둘러싼 신화는 더욱 공고해졌으며, 따라서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여전히 모호하고 두려운 어떤 것인 채로 남아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을 다룬 다큐멘터리 <알파고>의 시청각적 기표들을 분석하고, 나아가 인지과학의 관점을 빌어 신화화된 인공지능에 담긴 해묵은 함의들을 털어냄으로써 그것을탈신화화하고, 인공지능을 기술 그 자체로서, 나아가 또 다른 하나의 지능 그 자체로서이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ponder the myths surrounding the contemporary AI as well as to demythologize them.
    The match between AlphaGo and LEE Sedol in March 2016 greatly increased interest in the game of Go as well as in the AI. However, the mass media used various linguistic as well as non-linguistic signifiers to send the message to the public such as ‘the Strong AI like AlphaGo is the ultimate threat to humans and will become humans’ worst enemy’. In doing so, the mass media has successfully mythologized the contemporary AI.
    Today, about four and a half years later, the contemporary AI based on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s has already been deeply integrated into our daily lives. But the mass media continued to reinforce the myths they created. The myth became so solid that AI remains still incomprehensible, vague and fearful something to the public.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analyze semiotically the audiovisual signifiers of the award-winning 2017 documentary AlphaGo; to demythologize the contemporary AI which has been overly glorified and mythologized by the mass media with the help of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and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AI as neutral as possible in order to embrace it as ‘another’ intellig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