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섬진강 상류 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 -취락 자료를 중심으로- (Growth and Changes in the Political System of the Upper Area of the Seomjin River from the 1st to the 6th Centuries -Focusing on settlement dat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2
26P 미리보기
1∼6세기 섬진강 상류 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 -취락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6권 / 46 ~ 71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섬진강 상류의 취락 자료를 검토하여 1∼6세기 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섬진강 상류의 범위와 취락의 단계 설정을 시도하고, 개별 주거의 면적과 취락 규모, 그리고 주거의 평면형태와 분포양상을 분석하여 섬진강 상류의 정치체 성장 및 시공간적 변화상을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단일 취락 내, 취락 간 사회 구조의 성장과 변동의 모습을 살필 수 있었고, 물질문화의 분포 차이가 정치체의 아이덴티티와 관련됨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개별 주거의 면적 변화는 취락 내 구성원 간 위계의 심화를 보여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방형계 취락 Ⅱ단계는 Ⅰ단계와 비교해 보았을 때, 주거 규모의 평균값이 낮은 한편으로 면적의 분포 범위의 폭이 넓은데, 이는 큰 면적의 주거지가 집단 내 위계가 높은 소수 구성원에게 집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취락 분포 정형 검토를 통해 지역 정치체의 존립과 변동 양상을 알 수 있었다. 취락 Ⅰ단계는 중·소 규모의 소촌이 형성·발전하는 시기로, 곡성 오지리 유적, 임실 갈마리 해평 유적처럼 규모 면에서 두드러지는 취락이 등장한다. 취락 Ⅱ단계가 되면 Ⅰ단계에 큰 규모를 형성한 유적이 지속적 성장을 통해 소촌(순창 노동리 유적)-촌(순창 대가리 향가 유적), 소촌(임실 상신리B 유적)-대촌(임실 갈마리 해평 유적), 촌(남원 세전리 유적)-대촌(남원 향교동 유적)의 취락 분포 구조가 체계화된다. 취락 Ⅲ단계에는 외부 세력과의 관계성 확대로 물질문화가 유입되며,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기존의 취락 사회는 구조에 변화가 나타난다. 특히 임실 석두리 유적과 같은 교통의 결절지에 위치하는 취락이 성장하게 되고, 백제의 유입으로 Ⅱ단계의 대형 취락이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한편, 그 주변으로 새로운 취락이 형성되는 결과를 낳게 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주거 평면형태의 차이는 정치체의 아이덴티티(正體性, identity)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동시기에 주거지의 평면형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순창·임실과 남원·곡성 지역은 기층문화가 다른 두 사회가 맞닿아 있는 접경지대로 판단되며, 이후 시기에는 백제, 가야, 신라가 교류 및 쟁탈을 벌이는 과정에서 문화가 융합·창출되던 재생산의 공간이었을 가능성이 컸음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rowth and changes in the local political system from the 1st to the 6th centuries by reviewing residence and settlement data on the upper area of Seomjin River.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set the scope and stage of settlements in the upper area of the Seomjin River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analyzed the area of individual residences, the size of the settlements, and the floor shap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residences in order to look into the growth in political system and the changes in time and space in the upper area of Seomjin River.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growth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within a settlement and between settlements, and infer tha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material culture are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political systyem.
    Changes in the area of individual residences were found to show a deepening hierarchy among members within the settlement. Compared to Stage I, Stage II of square settlements shows the average housing scale is low, while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area is wide, which suggests that large-area settlements might be concentrated on a few members with high hierarchy within the group.
    Next, the existence and change patterns of the local political system was found through a review of the settlement distribution pattern. Settlement Stage 1 is a period in which small and medium-sized Sochon (small villages) were formed and developed, and villages with noticeable scale appeared, including Gokseng Ojiri Site and Imsil Galmari Haepyeong Site. In the settlement Stage Ⅱ, the large-scale sites that were formed in Stage Ⅰ continued to grow and showed the systematic settlement distribution structure: Sochon (small villages: Sunchang Nodongri Site)-Chon (villages: Sunchang Daegari Hyangga Site), Sochon (small villages: Imsil Sangsinri B Site)-Daechon (large villages: Imsil Galmari Haepyeong Site), and Chon (villages: Namwon Sejeonri Site)-Daechon (large villlages: Namwon Hyanggyo-dong site). In the settlement Stage III, material culture was introduced due to the expansion of relationships with external forces, as well as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settlement society in a changing world. In particular, settlements located in transport nodes grew such as the Imsil Seokdu-ri Site,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Baekje, large-scale settlements of Stage II were unable to maintain continuity,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new settlements around them.
    Lastly, differences in the floor shapes of residences are thought to have shown the identity of the political system. During the same time, Sunchang·Imsil and Namwon·Gokseong areas, which showed differences in the floor shapes of residential areas, are considered to be the border between two societies whose different underlying cultures met, and in the later period, as Baekje, Gaya, and Silla exchanged and struggled, they could be a space of reproduction where cultures were combined and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