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양 대동강 주변 樓亭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The Calligraphic Beau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ignboards on the Pavilions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in Pyeongya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평양 대동강 주변 樓亭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58호 / 259 ~ 292페이지
    · 저자명 : 설경희

    초록

    북한 평양의 대동강 주변의 樓亭 현판들을 소재로 하는 본고는 한국의 3대 누각을 중심으로 현판의 서예미를 고찰하는 연구의 一環으로, 평양 부벽루와 그 주변 현판을 대상으로 하여 출발한 것이다. 고구려 552년(양원왕8)에 수도 방어의 목적으로 축조된 평양성에 현재 보존되어있는 城門과 望樓, 성문의 門樓를 포함하여 누각에 걸린 현판들을 ‘樓亭 현판’으로 통칭하고 있다. 평양 대동강 일대는 이념의 차이로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어, 현재 답사가 불가능한 지역이지만 6.25동란 이전까지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였고, 우리 선조들이 창출한 한국의 문화 예술이기에 관심이 더욱 고조된다. 누정 현판의 연구범위는 <大同門> 2점과 練光亭의 <天下第一江山>, 그리고 <浮碧樓>ㆍ<乙密臺>ㆍ<普通門> 등 6점이다. 작가의 학문이나 學書 과정, 서예심미와 취향이 뚜렷한 현판, 즉 양사언이 맑고 방일한 서풍을 書寫한 <大同門>, 청의 사신 주지번이 음유미와 양강미를 겸하여 서사한 <天下第一江山>, 조광진이 장엄하고 전아하게 서사한 <浮碧樓> 등 3점의 서예미를 규명하였다. 또 작가의 학문과 서예심미를 뚜렷이 알 수 없는 현판, 즉 박엽의 <大同門>, 노원상의 <乙密臺>, 작가 미상의 <普通門> 등 3점은 조형적인 특징을 밝혀 그 서체미를 규명하였다.
    대동강 주변의 누정 현판과 그 서예 예술은 옛 우리 선비문화의 숨결이 닿아 시대적 양상과 함께 독특한 서예미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고구려인들이 평양성을 축조한 목적과 시대적 상황, 대륙을 접하고 있는 반도의 지리적 조건 등으로, 평양이 국방상ㆍ교통상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것처럼, 서예 문화에도 수도를 방어하고 국방을 다지려는 굳센 장수의 위엄과 의기양양한 호기가 장엄하고 강직한 서체미로 표현되는 문화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본연구를 통하여, 부벽루의 현재 상황은 관리가 소홀하면서 누각의 활용도나 대중의 관람이 일반적이지 못한 상황임을 알게 되었다. 이에 평양 대동강 주변에 보존되어있는 樓亭 현판들이 훌륭한 문화재임을 想起하고 북한 문화유산의 인식과 관리를 提高해야 할 때이다. 따라서 북한의 문화유산과 예술품에 대한 상호교류와 융합에 관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signboards on the pavilions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in Pyeongyang, North Korea. It is one of the studies to examine the calligraphy beauty of the pavilion signboards centering on the three major pavilions in Korea.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signboards of Bubyeoknu and the pavilions around it in Pyeongyang. Pyeongyang Fortress, built to defend the capital in Goguryeo 552 (8th year of King Yangwon), has some pavilions such as watchtowers and gate towers, and the signboards hanging on these pavilions are collectively called Pavilion Signboards. Because of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due to ideological differences, the Daedonggang River area in Pyeongyang is currently impossible to explore. However, the interest in this area is high because South and North Korea shar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6.25 Korean War, and it is a Korean cultural art created by our ancestors. The scope of study on Pavilion Signboards is six signboards; two of <Daedongmun>, <Cheonhajeilgangsan> of Yeongwangjeong, <Bubyeoknu>, <Eulmildae>, and <Botongmun>. The writers are Yang Sa-eon, Zhu Zhifan, Jo Gwangjin, Park Yeop, and No Wonsang, and the writer of <Botongmun> is unknown. These signboards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show the artist's academic or studying process, calligraphic aesthetics, and taste, and those that do not. Through the former, I identified the artist's unique calligraphic beauty. <Daedongmun> reveals Yang Sa-eon's clear and indulgent calligraphic style. <天下第一江山> was written by Zhu Zhifan, an envoy of the Qing Dynasty, and shows calligraphic beauty that combines yin and yang. <浮碧樓> shows Jo Gwangjin's solemn and elegant calligraphic tendency. The latter are Park Yeop's <Dadongmun>, No Wonsang's <乙密臺>, and an unknown artist's <普通門>. Since the writer's academic and calligraphic aesthetics are not known for these three signboards, I examined the beauty of calligraphic script by investiga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ose signboards.
    I found that the pavilion signboards and their calligraphic art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had a unique beauty of calligraphy and calligraphic script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he classical scholar culture and the aspects of the times. Just as the people of Goguryeo built Pyeongyang Castle to protect Pyeongyang, which is in an important position in terms of national defense and transportation, the calligraphic culture also reflects the dignity and triumphant spirit of a strong general to defend the capital and strengthen national defense and show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solemn and upright beauty of calligraphy. Through this study, I realized that the management of Bubyeoknu was negligent. They have not utilized the pavilion properly, and the general public has not been allowed to see it. Therefore, it is time to recall that the pavilion signboards preserved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in Pyeongyang are excellent cultural properties, and to raise awareness and management of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Thus, there should be continued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mutual exchange and convergence of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and art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