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강 유역 점유 세력의 변천 -백제・고구려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Occupation Power of theImjin River Basin -Focusing on the Changes in RelationsBetween Baekje and Goguryeo-)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2.08
40P 미리보기
임진강 유역 점유 세력의 변천 -백제・고구려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41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신광철

    초록

    임진강은 한반도의 가운데를 동북-서남 방향으로 貫流하는 강으로서 추가령구조곡의 방향성과 궤를 같이한다. 고대로부터 추가령구조곡은 한반도 동북-서남 지역을 연결해주는 교통로로 활용되었는데, 삼국시대에는 이 노선을 따라 남하한 말갈이 한반도 중부 곳곳에서 백제를 공격하였다. 한편, 임진강 유역은 백제의 북방을 이루며 한강, 예성강과 만나 바다로 통하는 뱃길을 제공하였으며, 반대로 고구려의 남진 과정에서는 남부전선의 후방이자 對백제・신라 방어선으로서 기능하였다.
    서울-경기지역은 물론 충청도와 강원도 일대까지 광범위한 범위에서 확인되는 적석총 및 중도문화를 증명해주는 각종 고고 자료는 임진강 유역과 백제의 성장 배경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3~4세기 낙랑・대방 2군이 고구려, 백제의 국력 팽창과 맞물려 쇠퇴일로를 걷게 되면서 임진강 유역은 양국의 완충지대가 아닌 양국의 힘이 충돌하는 격전지로 변모하게 된다. 현재 임진강 유역에는 지역 거점으로 운영되었다고 볼만한 고구려 성곽을 비롯해 다수의 보루를 확인할 수 있는데, 관방유적 인근에서 조사된 생활・생산유적과 분묘유적을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영역 확보가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광개토왕비>의 영락 6년조(396)는 임진강 유역을 사이에 두고 대립했던 백제・고구려의 관계가 어떠했는지를 알려주는 기록이며, 이를 기점으로 이 지역의 주도권이 백제에서 고구려로 넘어가는 과정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하겠다.

    영어초록

    The Imjin River is crosses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northeast to southwest, so it is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Since ancient times,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used as a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 northeastern and southwest Korean Peninsula, the Three Kingdoms Period, Malgal southward along this route attacked Baekje throughout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Imjin River basin formed the northern part of Baekje and met with the Han River and the Yesŏng River to provide a route to the sea. In the process of Goguryeo's advance to the south, it functioned as the rear of the southern front and the defense line of Baekje and Silla.
    Archaeological data that prove the stone mound and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which are widely identified not only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but also in Chungcheong-do Province and Gangwon-do Province, show the background of the Imjin River basin and Baekje. On the other hand, as the 3rd and 4th centuries of Nakrang and Daebang walked on a decline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power of Goguryeo and Baekje, and the Imjin River basin was transformed into a fierce battlefield where the forces of the two countries collide. Currently, in the Imjin River basin, a number of fortresses, including Goguryeo fortresses that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operated as regional bases, can be seen, and it can be assumed that stable areas have been secured in the long term through living and production relics and tomb relics investigated near the official residence.
    In particular, Stele of King Gwanggaeto in record of Yeongrack 6th(396) is a record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Goguryeo, which were opposed between the Imjin River basin, clearly shows the process of the transfer of leadership from Baekje to Gogu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