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小有亭題詠錄』을 통해서 본 금호강 江岸文學 (Research on “Soyojeong-jeyeongr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03
28P 미리보기
『小有亭題詠錄』을 통해서 본 금호강 江岸文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66권 / 66호 / 35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충희

    초록

    小有亭은 松潭 蔡應麟(1529~1584)이 대구시 북구 검단동 금호강 강변에 지었던 정자이다. 이 정자는 금호강을 내려다 보고 멀리 팔공산을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이 정자는 전망이 아름다웠고, 많은 선비들이 통행하던 금호강 언덕에 있었기 때문에 그 당시에 영남 지역에서 이름난 정자가 되었다.
    채응린은 대구 최초의 서원인 硏經書院의 講學에 참여한 학자이다. 채응린의 친구인 溪東 全慶昌(1532~1585)은 일찍이 退溪의 문하에 나아가 性理學에 대한 가르침을 받은 바 있는데, 채응린은 전경창에게서 퇴계의 학문을 전수 받은 바 있다.
    『小有亭題詠錄』은 소유정을 방문한 사람들이 남긴 시를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 시를 남긴 사람들을 검토해보면, 17세기 무렵에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와 관료들은 대부분 小有亭을 방문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徐思遠, 郭再謙, 孫處訥, 徐思選, 孫處約, 孫遴, 都聖兪, 李潤雨, 李文雨, 蔡楙 등은 대구나 대구 인근 지역에서 활약한 학자들이다. 그들은 退溪의 성리학을 대구 지역에 전파한 全慶昌, 蔡應麟, 鄭師哲 등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그 무렵에 성주와 대구 지역에서 講學한 이름난 학자인 寒岡 鄭逑의 제자들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小有亭題詠錄』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소유정이 16세기~17세기에 대구 지역에 거주하던 文人이나 學者들이 찾아와 경전을 강론하고 시를 吟誦하던 장소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小有亭題詠錄』을 살펴보면 그 무렵에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가 누구인지가 드러난다. 둘째, 소유정은 16~17세기에 금호강 연안 정자 문화의 선두 주자였기 때문이다. 이 당시에 금호강은 배를 이용하여 쉽게 이동하는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금호강 주변에 선비들이 모이는 서원이나 정자가 지어지게 되었다. 16세기 말에 소유정이 지어질 무렵부터 금호강 연안에는 많은 정자들이 지어지게 된다. 이 당시에 금호강 연안에 지어진 정자는 선비들의 강학 공간이며 휴식 공간이었다. 『小有亭題詠錄』에는 금호강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선비들의 모임이나 선비들의 활동이 드러나기도 하고, 강변에서 느끼는 선비들의 정서가 드러나기도 한다. 그 결과 『小有亭題詠錄』을 통해 금호강 유역에서 일어나는 江岸文學의 일단을 살필 수 있다.

    영어초록

    Soyoujeong Pavilion was built by Chae Eung-rin(1529~1584), along the Geumho River in Geomdan-dong, Buk-gu, Daegu. The pavilion was located at a location where you can look down at the Geumho River and look at Palgongsan Mountain in the distance. This pavilion had a beautiful view. At that time, it became a famous pavilion in Yeongnam region because it was located on the hill of the Geumho River, where many scholars used to go.
    Chae Eung-rin was a scholar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conference of Yeongye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e first Confucian academy in Daegu. In the early days of Chae Eung-rin's friend Jeon Gyeong-chang(1532~1585), he was taught Neo-Confucianism by Toegye, and Chae Eung-rin was taught the study of Toegye by Jeon Gyeong-chang.
    “Soyojeong-jeyeongrok” is a book that records poems left by visitors to Soyoujeong. If you look at the people who wrote poems in the book, most scholars and officials from Daegu visited So Yujeong in the 17th century. Seo Sa-won, Kwak Jae-gyeom, Son Chun-ul, Seo Sa-seon, Son Cheoyak, Son Lin, Do seongyu, Lee Yun-woo, Lee Mun-woo, and scholars who have been active in Daegu or nearby Daegu. They inherited the academic backgrounds of Jeon Gyeong-chang, Chae Eung-rin, and Jeong Jeong- cheol, who spread Toegye's studies to the Daegu area. He is also a disciple of Jeong-gu, a famous scholar.
    There are two reasons why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Soyojeong- jeyeongrok” in this paper. First, Soyoujeong Pavilion was widely known as a place for scholars living in Daegu from the 16th to 17th centuries. Therefore, if you look at the “Soyojeong-jeyeongrok”, you can see who was a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Daegu area at that time. Second, Soyoujeong was a leader in the Pavilion culture of the Geumho River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t that time, the Geumho River served as a transportation route that was easily moved by boat. Therefore, many pavilion was built around the Geumho River where scholars gathered. “Soyojeong-jeyeongrok” reveals the activities of scholars and scholars along the coast of the Geumho River, and the emotions of scholars along the river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