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 강록의 전승과 이덕홍의 『사서질의』 (The Transmission of Toegye Gangnok and Lee Deok-hong's 『Saseojil-u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퇴계 강록의 전승과 이덕홍의 『사서질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44호 / 35 ~ 67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이덕홍은 약관 무렵(1559)에 이황에게 집지하였으며, 그 뒤 이황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12년 동안 늘 측근에서 함께 생활하였다. 퇴계 강록의 전통이 잘 나타나는 『四書質疑』의 경우, 이황의 사서주석인 『四書三經釋義』의 내용을 반영함은 물론 그 확충한 내용을 담고 있어 이황과 그 직전제자들의 사서해석을 이해하는 중요한 강록이다. 다만 그 집성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후대의 손길이 닿았으므로 그 과정상의 내용을 세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사서질의』에는 적지 않은 경전의 글자에 대한 훈고가 있는데 이는 본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주자의 주와 소주의 내용까지 포괄하고 있어 이후의 경전 해석에 중요한 실마리를 주는 것이다. 이것은 주로 본문의 文義 이해를 위한 언해와 해석의 방향을 잡아주던 ‘釋義’ 단계에서 더욱 진전하여 集注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것은 어록에 대한 문법적인 요소에서 더 나아가 본문 자체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이해와 해석의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Lee Deok-hong served Yi Hwang in his youth (1559) and lived with him for 12 years until Yi Hwang passed away. In the case of Saseojil-ui (四書質疑)』, which well reflects the tradition of Toegye Gingnok, it reflects the contents of Yi Hwang's Saseo Samgyeong Seok-ui (四書三經釋義)』, which is an expanded version of the Four Books, and is an important lecture for understanding the Four Books of Yi Hwang and his immediate disciples. However, since many later generations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i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process in detail. In 『Saseojilui』, there are many commentaries on the characters of the scriptures, which are not only for the main text but also include the contents of Zhu Xi’s commentaries and subcomments, providing important clues for the subsequent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This shows that the full-scale review of the commentaries has begun, going further than the ‘seog-ui’ stage, which mainly provide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for understanding the text’s meaning,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xt itself and a standard for interpretation, compared to the grammatical elements of the analects.
    In addition, bold attempts were made to understand the general interpret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Zhu Xi’s commentaries in a slightly new way. In the chapter ‘不以其道得之’ of the ‘里仁’ s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the views of Li Hwang were accepted, and even if Zhu Xi’s views were insufficient in terms of meaning, they were critically accepted. In addition, there are cases that show the academic situation of the time, such as the inclusion of anecdotes related to Nammyeong Josik, and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Jujieonron (朱子言論) in 『Hokmun』 and 『Janggu』 can be understood as a precursor to the later consideration of ‘Jujaeonrondongi’ seen in Han Wonjin.
    In addi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Daehak’s ‘Simbuljaeon(心不在焉)’, it shows the aspect of further developing Toegye’s views by emphasizing the subjective aspect of the mind that the mind controls the body. The argument of the subjectivity of the mind in the body is an important argument that was later connected to the view of mind and body and passed on to Baekho Yunhyu and Seongho School’s Lee Byeonghyu.
    In this context, Lee Deokhong’s 『Saseojilui』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compilation of Toegye’s studies, but as an important process of the further advancement of Toegye’s school’s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