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에 대하여 (On the Stories of Forced Migration of Central Asia Korea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10
31P 미리보기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38호 / 451 ~ 481페이지
    · 저자명 : 이복규

    초록

    이 논문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을 고찰한 것이다. 강제이주담은 고려인 생애담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면서 관련 문헌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라 우선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어, 이것만 따로 다루었다.
    먼저, 강제이주담의 화제들을, 강제이주를 중심으로 일곱 가지로 정리해 사실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강제이주 사실의 인지 시기, 강제이주의 이유, 강제이주시의 휴대품 분량, 고려인이 탔던 이주열차의 구조, 이주열차에서의 생활, 첫 도착지에서의 겨울나기, 첫 도착지 현지인의 반응 등의 양상을 살폈다. 같은 화제라도 지역과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그간의 쟁점이었던 문제들에 대해 진전된 이해에 이르기도 하였다.
    그 다음으로, 강제이주에 대한 고려인의 인식 양상을 살폈다. 죄 없는 고난, 배신감과 분노, 모멸스러운 일 등으로 반응․인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던 ‘강제이주’라는 극단의 시련을 당하면서 그냥 순응만 한 것이 아니라, 그 부당성에 대해 또렷하게 인식하여 배신감, 분노, 모멸감 등을 느끼며 일정하게 반응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의 의의는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데 있다. 강제이주의 주요 화제들의 실상을 드러낸 것은 고려인 이주사를 이해하고 서술하는 데 일정하게 기여하리라 보며, 이를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을 디딤돌 삼아 더 심도 있는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stories of forced migration of Central Asia Koreans. It is a significant first attempt as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on this topic despite a steady accumulation of research findings on the Koreans in this region. Among the few possible topics on their life stories, forced migration was picked up for the main topic since it comprises the core features of the life stories of these Koreans, yet leaving only a few available materials for research.
    The materials of this paper include the oral transcripts from 11 Koreans in Kazakhstan who were born prior to 1931 that I met between 2005 and 2009, 75 memoirs and reportage featured in Lenin Gichi and Koreilbo, and 7 reminiscences published in other types of literature. Based on these data, the following facts were established, which were also the key factors of Central Asia Koreans' life stories: (1) the time when they knew they were leaving; (2) the reason for their migration; (3) the amount of stuff they could carry; (4) the structure of the train where they were aboard; (5) life aboard the train; (6) overwintering at the first arrival; (8) the responses of the natives; (7) life after the forced migration. The stories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individuals; however, it was possible to reach an advanced understanding toward some controversial issues. The confirmation that their having lived in a hole called Jamble was not just a legend but a fact is one example.
    Next, the epistemological aspects of forced migration were examined, such as (1) innocent suffering; (2) sense of betrayal and resentment; (3) humiliation. These Korean emigrants did not merely conform to 'forced migration,' an extreme ordeal that had never been experienced in the national history, but they were well aware of its injustice as well, 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s with high levels of emotion.
    This paper is only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went over the life stories of Central Asia Koreans for the first time; hopefully, a number of more strenuous studies will be ensued seeing research topics from various angles. Recommended are an independent study of a problematic individual's life story,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topics before and after forced migration, and life stories of those who returned to the Far East. Furthermore, it should be discussed how the life stories of these Koreans differ from those of other Koreans including those who have kept living i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