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晉州 姜門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 (The Learnings and Philosophy of Jinjoo Kang Confucianis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9.12
33P 미리보기
晉州 姜門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0호 / 365 ~ 397페이지
    · 저자명 : 황의동

    초록

    조선조 유학은 당파, 학파, 가학이 복잡하게 얽혀 발전해 왔다. 이런 점에서 가학 내지 문중학문의 연구도 그 의미가 크다. 진주강씨는 姜以式, 姜民瞻, 姜邯贊 장군을 시조로 삼는데, 그 이후 역사상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본 연구는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경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학풍은 다음과 요약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의리적 학풍이다. 姜渾, 姜詗, 姜諶, 姜諿, 姜訢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사화시대에 의리를 지키다 희생을 당한 도학자들이다. 姜沆은 정유재란 때 영광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우다 포로가 되어 일본에 잡혀갔는데, 그 곳에서 조선성리학을 가르쳐 일본 성리학의 원조가 되었다. 姜鶴年은 병자호란 때 斥和義理의 상소를 올렸고, 인조반정 초기에는 ‘以暴易暴’의 고사를 인용해 집권층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밖에도 姜德龍, 姜士龍, 姜紀龍, 姜克孝, 姜燦 등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고, 姜樂遠, 姜蘭秀, 姜士文 등은 한말에 의병을 일으켜 싸웠다. 둘째, 개방적인 학풍이다. 姜籒는 문학에 능했는데 제자백가에 능통하였고, 『莊子』를 매우 좋아하였다. 姜鶴年은 『老子』를 인용해 ‘太極’을 설명하였고, 姜栢年은 『閑溪漫錄』에서 유학은 물론 도가, 불가, 제자백가를 두로 섭렵해 저술을 하여 그의 개방적 학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西學에 대한 관심이다. 姜履元, 姜履中, 姜履寅 종형제들은 茶山 丁若鏞과 매우 절친해 서학에 관여한 바 있고, 姜彛天, 姜彛文 형제는 서학에 앞장서다 희생을 당하기도 하였다. 특히 姜完淑은 여성으로서 천주교 신앙운동에 앞장선 선구자였다.
    이러한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의리적 학풍, 개방적 학픙, 서학에 대한 관심은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노론계의 학풍과는 구별되는 것이며, 이는 소론이나 남인이 그랬던 것처럼 정통성리학의 사변적 탐구에서 벗어나 일면 내면적인 자기수양과 의리적 실천에 전념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개방적 학풍을 견지했던 것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has a complex development with the intricate mixture of factions, schools, and familial learning. In this rega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d by a single family is meaningful. The Jinjoo Kang family was headed by Kang Lee-Shik, Kang Min-Chum, and general Kang Kam-Chan. It was a family that produced numerous historical figures.
    The academic schools and philosophy of this famil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is the school of righteousness. Kang Hon, Kang Hyung, Kang Shim, Kang Jeup, and Kang Heun were disciples of Kim Jong-jik and were all martyred during the massacre of scholars for their righteousness. Kang Hang led an army to stand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Jung Yu We Ran before eventually being captured by the Japanese forces. He continued resisting by teaching Chosun Sung Confucianism in Japan. Kang Hak-Nyun appealed to the King during Byun Ja Ho Ran and strongly opposed the political powers during In Jo Ban Jung. There were also Kang Duk-Ryong, Kang Sa-Ryong, Kang Ki-Ryong, Kang Keuk-Hyo, Kang Chan and many others from this family that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Lim Jin We Ran. There was also Kang Rak-Won, Kang Nan-Soo, and Kang Sa-Mun who als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Second is the school of openness. Kang Joo had fluent knowledge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He especially recognized Chaung-tzu. Kang Hak-Nyun quoted Lao-tzu in describing yin and yang. Finally, Kang Baek-Nyun wrote his Han Kye Man Rok by applying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his fluent knowledge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Third is the deep interest in western learning. Kang Lee Won, Kang Lee Oh, Kang Lee Jung, and Kang Lee In were brothers that were all very close to Chung Yak-Yong and deeply involved in western learning. Also, Kang Lee Chun and Kan Lee Mun even sacrificed themselves to promote western learning.
    The righteous, open school of thought as well as the interest for western learning that the Jinjoo Kang family sought was distinguished from the No-Ron clan that possessed the most political power during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