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康雍乾시대 ‘大一統’ 정책과 시각 이미지 (‘The Great Unity’ Policy and Visual Images in the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9.08
38P 미리보기
康雍乾시대 ‘大一統’ 정책과 시각 이미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3권 / 7 ~ 44페이지
    · 저자명 : 정석범

    초록

    대일통 사상은 한대에 대제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대두되었는데 황제 중심의 정치적 통일과 공자의 유학으로 사상을 통일하는 것을 말한다. 대일통 사상은 분열기에는 그 자취를 감추었지만 통일기에는 어김없이 등장하여 중국을 정치적, 문화적으로 결속하는 중요한 이념적 수단이 되었다. 초기에는 華夏 중심의 배타적인 종족적 화이론이었지만 한인 지배영역의 확대와 함께 변방의 四夷를 끌어앉는 문화적 개념으로 재해석된다. 이민족으로서 중원의 패자가 된 청조도 문화적 화이론에 입각한 대일통 사상을 대제국 통합의 바탕으로 삼는다. 청조의 전성기를 이룩한 강희·옹정·건륭의 세 황제는 이러한 이념을 바탕으로 황제로서의 자신들의 이미지를 형성해 나간다. 강희제는 민본주의적인 유가 군주의 이미지를 정립하려 노력한 데 비해 옹정제는 重儒 정책을 표방하되 불교와 도교도 포용함으로써 복합다민족 국가에 걸맞은 군주상을 정립하려 한다. 그러나 복합다민족 제국 위에 군림하는 새로운 황제상을 확립한 것은 건륭제였다. 그는 만주족에 대해서는 大汗으로서, 한족에 대해서는 민본적 유가군주로, 티벳과 몽골인들에 대해서는 문수보살 황제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해나감으로써 다원적 대일통을 지향했다.
    청조의 황제들은 대일통 사상을 제도적으로만 관철해나간 것이 아니라 시각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유포했다. 이를 위해 그들은 화원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대일통 이미지에 적합한 화원양식의 형성에 치밀하게 개입한다. 중국 전통화법과 서양화법을 병렬적으로 결합한 화원의 공식 회화양식인 ‘郎體’는 황제의 칙령을 만문, 한문, 몽골문 등으로 병기하여 반포하는 복합다민족 제국의 운용방식과 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이미지들은 세 황제가 각각 지향한 군주로서의 풍모를 선양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민본주의적 유가 군주를 표방했던 강희제는 자신의 초상을 통한 직설적 방식보다는 ≪佩文齋耕織圖≫의 반포와 같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해나갔다. 유교를 중심으로 하면서 불교, 도교 등도 포용한 옹정제는 강희제와 달리 자신의 단독 초상을 통해 새로운 황제상을 정립하려했다. 그는 자신을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하는 군주로, 혹은 다양한 민족의 지도자로 묘사함으로써 마치 상황에 따라 형상을 바꾸는 부처와 같은 모습으로 자신을 묘사했다. 반면 청 최대의 영토를 이룩한 건륭제는 다양한 민족을 통합하기 위해 다원적 이미지 전략을 구사했다. 불교가 현실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티벳과 몽골지역에는 문수보살로서의 황제상을 제작 유포하는 한편 기마초상과 같은 大汗으로서의 이미지도 공적인 장소를 통해 전파해나갔다. 한인에 대해서는 덕치를 구현하는 유가군주로서의 풍모를 드러내려 했는데 이는 황제의 仁政에 감화되어 極西의 서양인들까지 조공을 바치러 온다는 <萬國來朝圖>에 웅변적으로 표현되었다.
    청대 강옹건 시대의 화원을 통한 시각이미지 정책은 정치 이데올로기와 이미지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중요한 사례가 된다는 점에서 미술사연구의 가치 있는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doctrine of ‘The Great Unity(Daiyitong)’ became prominent in the Han Dynasty as the driving force for efficient governing of the great empire and it refers to the political unification centered on the emperor and the Confucianism-centered unification of ideologies. Although it disappeared during periods of division, the doctrine of ‘The Great Unity’ emerged without fail during periods of unification and became an important ideological means of politically and culturally uniting China.
    Initially an exclusivist, ethnic group based Sino-Barbarian theory (Huayilun) centered on the central district of China, it became reinterpreted, with the expansion of the Han controlled territory, as a cultural concept embracing the Four Barbarians (Siyi) in the border areas. Even the Qing Dynasty, established by a Manchurian people reigning supreme over central China, took up the doctrine of ‘The Great Unity’, based on cultural Sino-Barbarian theory, as the foundation for the unity of the great empire. The three emperors,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who built the golden age of the Qing Dynasty, constructed their images as emperors based on such ideology.
    Whereas Emperor Kangxi strived to establish the image of the people-oriented Confucian monarch, Emperor Yongzheng attempted to form the image of the monarch befitting a multi-ethnic nation by embracing Buddhism and Taoism while still pursuing a Confucianism first policy. However it is Emperor Qianlong who established the new image of the emperor dominating over a multi-ethnic empire. He moved toward the pluralistic ‘Great Unity’ by constructing the image of the Great Khan for the Manchu, the people-oriented Confucian monarch for the Hans, and the Manjusri Emperor for the Tibetans and Mongols.
    Going beyond institutionally establishing the doctrine of ‘The Great Unity’, the Qing emperors actively disseminated it by using visual images. To do so, they aggressively used the Painting Academy system and elaborately intervened in the formation of the Painting Academy’s style appropriate for the Great Unity image. The Castiglione’s style, the official painting form of the Painting Academy which combined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styles like “collaged images”, conforms to the method of managing a multi-ethnic empire whereby the emperor’s edits are sent out in the Manchu, Chinese, Mongolian, and Tibetan languages written side by side.
    The images thus formed became important means of propagating the image of the ruler sought by each of the three emperors, respectively. Emperor Kangxi, who espoused the people-oriented Confucian monarch, established his image through indirect methods such as distribution of the Book of Agriculture and Sericulture(Gengzhitu), rather than the direct method of distributing his portrait. Emperor Yongzheng, who embraced Buddhism and Taoism while keeping Confucianism at center, unlike Emperor Kangxi,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image of the emperor through his own individual portraits. By depicting himself as a ruler who share in the joys of the people, or as a leader of diverse ethnic groups, he expressed himself like Buddha who changed shape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Emperor Qianlong, who expanded Qing’s territory to its greatest size, employed a strategy of pluralistic images to unite the diverse ethnic groups. In Tibet and Mongol areas where Buddhism exercised tremendous influence, he produced and distributed the image of the emperor as Manjusri Emperor and also disseminated the image of the Great Khan. Toward the Han people, the emperor tried to reveal the image of a Confucian monarch actualizing ethical government, and this was eloquently expressed in the Ten Thousand Envoys Come to Pay Tribute (Wanguolaizhaotu) showing even Extreme Occidental Westerners coming to pay tribute. As an important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ideology and image, the visual image policy through the Painting Academy in the Emperor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Period can be considered a valuable asset for the study of ar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