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대 파저강(婆猪江) 재정벌(再征伐)과 대외정벌 정책 (Re-conquest of the Pajeo River and Policies for Conquering the foreign territor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f Joseon Dyan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5.06
29P 미리보기
세종대 파저강(婆猪江) 재정벌(再征伐)과 대외정벌 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95호 / 333 ~ 361페이지
    · 저자명 : 이규철

    초록

    세종의 재위기는 조선의 대외정벌 정책이 본격화되었던 시기였다. 조선은 건국 이래 북방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태조와 태종은 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도 압록강과 두만강 북변 일대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조선의 대외정책 방향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정벌’이었다.
    세종은 신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파저강 일대에 대한 재정벌을 단행했다. 이는 1차 정벌 때의 성과를 통해 세종의 국정 주도권이 확대 되었음을 보여준다. 조선의 파저강 재정벌에서 최대 목표는 이만주의 포착이었다. 당시 조선이 이만주 포착을 정벌의 목표로 삼았던 것은 건주위 여진 세력에서 구심점이 되었던 존재를 제거해 조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었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압록강 일대의 여진 세력에 대한 명과의 주도권 다툼이었다. 조선은 사실상 자신이 영향력에 속해 있다고 생각했던 파저강 일대에 이만주 세력이 명의 승인을 명분으로 이주했던 상황을 좌시할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 더욱이 이만주 세력은 조선보다는 명과의 관계를 보다 중시했다. 따라서 조선은 이만주 세력에 대한 정벌을 통해 압록강 일대에 대한 실질적 지배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대외정벌은 군사력을 동원해 외부 세력을 공격하고 성과를 활용하기에 가장 알맞은 정책이었다. 대외정벌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세력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외정벌은 국왕이 정치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이었다. 실패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성공했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성과가 훨씬 크다고 예상되었기 때문에 세종은 신료들의 강한 반대에도 정벌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시행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period of Sejong's reign over the Joseon, the policy for conquering foreign powers began discussing more seriously.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it had continued to show interests in the northern regions. In addition, the King Taejo and Taejong strived to secure influence in the surrounding areas of Amnok River and the Duman River,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the Ming. One of these representative foreign policies of the Joseon was the 'conquest' against the savages.
    In the face of strong protest from the retainers, Sejong was determined to carry out the re-conquest of the regions surrounding the Pajeo River. This showed that Sejong had expanded his political power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first conquest. The ultimate goal of the Joseon occupying the Pajeo River again was to capture Lee Man Ju, chief of the barbarians called Jurchen. This was because the Joseon had an intention to spread its clout around by removing the figure playing a pivotal role within the Jurchen population in the region of Geonju-wi.
    More importantly, it was the struggle with the Ming to gain the upper hand over the hegemony of the Jurchen group centering on the whole area of the Amnok River. It seems to me that the Joseon would not shut its eyes to the groups led by Lee Manju, who received the approval from the Ming to move them in the Pajeo River area that the Joseon considered under its influence. Besides, the Lee Manju group put more emphasis on a close rapport with the Ming rather than with the Joseon. The Joseon, therefore, sought to obtain the actual control over the entire area of the Amnok River by getting rid of the forces of Lee Manju.
    The foreign policy for conquests outside the Joseon was the most suitable and useful one to attack external influences using military strength and take advantage of the achievements. It's because such conquest policy could have an impact on foreign powers as well as domestic groups. This is why foreign subjugation became a proper type of policy that can be politically used in various ways. Since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failure, if it was successful, it would be expected to produce a bigger fruit, King Sejong took the lead to push ahead and carry out the conquest even when facing strong objection from his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