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갑질’의 소통문화: ‘따로함께’의 이데올로기를 넘어 (Communication Culture of ‘Gapjil’: Beyond the Ideology of ‘Gathering Separatel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7.06
39P 미리보기
‘갑질’의 소통문화: ‘따로함께’의 이데올로기를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0권 / 2호 / 251 ~ 289페이지
    · 저자명 : 이하배

    초록

    ‘강자의 약자에 대한 함부로’인 ‘갑질’은 ‘힘으로-만 함’이다. 갑질은 그러나 힘으로만이 당연하다는 갑과 을의 일정한 믿음을 일정한 방식으로 전제한다. 을질은 부당한 갑질을 받아들이고 이러한 갑질에 자신을 맞추는 행동이다. 갑을질은 나와 너 사이를 너무 나누어(2) 나와 너 사이에 나눌(1) 수 없게 한다. 작은 세상크기에서 보고 듣는 말이나 행동, 의미들이 결국 ‘나-만’ 혹은 ‘돈-만’으로 수렴된다면, 이들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 내면화되어 자연스레 나의 생각이나 가치로 된다. (‘법’으로 대표될 수 있는 갑을 간의 ‘같은 정신’ 속에) 자의든, (‘밥’으로 대표될 수 있는 갑을 간의 ‘다른 물질’ 속에) 타의든, 갑을질은 보통 자의반 타의반에서 생긴다. 갑질은 ‘나만 있음’의 불통이고, 을질은 ‘너만 있음’의 불통인 반면, 병(竝)질은 ‘너도 있는 나 있음, 나도 있는 너 있음’의 소통이다. 갑질에서 을은 없다. 너는 나와 같아졌기 때문이다. 이는 ‘갑의 밥에 같아짐’이 아니라, ‘갑의 법에 같아짐’이다. ‘같아질수록(2) 달라짐(2)’은 ‘하나일수록 둘이 됨’을 말한다. 이는 정신에서 같아질수록 물질에서 달라짐이다. 같아질수록 달라짐은 그러나 달라질수록 같아짐을 포함한다. 이는 수직분리의 재생산으로 이어진다. ‘좋은 같음’은 ‘다 사람’ 속에 소통과 함께의 ‘수평 같음’으로, 다를(1) 수 있는 같음(1)이고, ‘나쁜 같음’은 일방 속에 불통과 따로의 ‘수직 같음’으로, ‘다를(1) 수 없는 같음(2)’이다. ‘좋은 다름’은 다양성, 창의성으로 향하는 소통과 함께의 수평 다름으로, ‘같을(1) 수 있는 다름(1)’이고, ‘나쁜 다름’은 양극화나 차별로 향하는 불통과 따로의 수직 다름으로, ‘같을(1) 수 없는 다름(2)’이다. 1과 2는 수평/민주와 수직/비민주를 지시한다. 사실과 가치에 대한 인식과 의식의 변화는 문화나 관습 그리고 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이것은 다시 인식과 의식의 변화를 가져온다. 논문에서 밝혀온 갑을질의 문화를 더 묻고 더 밝히며 이를 넘어서는 ‘소통으로 소통 다스리기’, 즉 이통치통(以通治通)의 다양한 열린 공간의 다양한 열음 속에 ‘따로함께(1)’로 ‘따로함께(2)’를 넘어 ‘따로함께(1)’를 향하는 ‘병(竝)질의 함께’로 풀어가는 일이 중요하다.

    영어초록

    “Gapjil,” arbitrary treatment for the weak, is “Doing with Power exclusively.” It is based on a certain belief that power is natural. “Euljil” not only accepts but also tries to adjust itself to unjust “Gapjil.” Both “Gapjil and “Euljil” involve practice of separating too severely, so they do not allow any bases of sharing anything.
    Those words, behaviors, meanings in everyday life that come to be reduced to “only me” or “only money,” will be internalized as natural process, and then constitute our ways of thinking and values. Indeed, “Gapjil” and “Euljil” come into being out of either half willingly (out of same way of thinking belonging to a single rule) or half not (out of belonging to separated and different material worlds).
    “Gapjil” is a condition of non-communication out of “only me” and “Euljil” is a condition of non-communication out of “only you.” By contrast, we can imagine “Byongjil” as a condition of communication in term of “you and me coming together.” Obviously, there is no Eul’s proper position in “Gapjil,” as it erases the proper distinction. This is the outcome not of “equalizing up to Gap’s material condition,” but of “coming to belong Gap’s rule.” Here “the more equalizing become more differentiated,” which then means the process that “the more being integrated become more separated condition.” Hence, the more spiritually equalized, it becomes more materially differentiated. Yet this also involves “the more being differentiated, it becomes equalizing.” All the process comes to reproduce vertical separation in our relations.
    “Good equality” is “horizontal equality” based on communication among “all human beings,” which is the equality that can be different. “Bad equality” is “vertical equality” based on arbitrary relations and non communication, which is conformability that cannot be different. By contrast, “Good Difference” is horizontal difference that is open and communicative, so it can lead toward diversities and creativities. Hence, differences here can come together. By contrast, “Bad Difference” is vertical difference that is discriminative and non communicative, so it can end up with polarization and discrimination. Accordingly, the difference here cannot come together. In sum, the horizontal difference is democratic and the vertical difference is non-democra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