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상감사 조병호와 갑오년의 경상도 상황 (The governer of Gyeongsang-do and the Critical Situatiom in 1894)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5.06
58P 미리보기
경상감사 조병호와 갑오년의 경상도 상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35호 / 81 ~ 138페이지
    · 저자명 : 신영우

    초록

    1894년 4월 25일 새로 임명된 경상감사는 조병호(趙秉鎬, 1847~1910)였다. 조병호는 이미 판서를 역임했을 뿐만 아니라 국왕인 고종의 사돈이었다. 형인 조경호(趙慶鎬)가 흥선대원군의 사위이면서 국왕 고종의 매부였다. 그는 강력한 배경을 갖고 있었다.
    조병호가 부임한 시기는 전라도와 충청도의 동학농민군이 봉기해서 활동하던 때였다. 경상도에서도 그런 사태가 비화될 것을 우려하였다. 많은 농민들이 동학 조직에 들어가 여러 군현에서 동학도들을 관아가 통제할 수 없었다.
    신임감사가 당장 해결해야 할 현안은 농민항쟁의 수습이었다. 조병호는 항쟁의 원인을 조사해서 부정한 관리를 처벌하였다. 정부는 경상도의 폐정개혁과 관련한 논의에서 심각한 흉년을 거론하고 있었다. 당시 연이은 흉년으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기근에 시달렸다. 경상도에서 벌어진 농민항쟁은 자연재해 속에서도 농민들을 수탈하는 지방관에 대한 항거로 나타났다.
    다음에는 동학도들이 다수의 위력으로 관치질서를 무너뜨리는 사태를 막는 일이었다. 여름 이후 경상도의 사정도 충청도와 비슷하였다. 동학 조직이 무장을 하고 군현의 읍내와 관아를 점거할 기세였다.
    이와 함께 경상도에 들어온 일본군을 대처해야 하는 일이 시급하였다. 경상도는 임란 이후 일본의 재침을 막기 위해 병영과 수영, 그리고 산성이 포진한 곳이었지만 갑오년에 마구 들어오는 일본군을 막을 무력이 없었다. 경복궁을 기습점령하고 동맹조약을 강제로 체결한 일본이 청과 전쟁을 위해 부산에 제5사단을 상륙시켜서 북상해왔다. 경상도 여러 지역에 일본군 병참부와 군용전신소가 설치되었고, 동학 조직이 일본군에게 적대하기 시작하였다. 감사로서 이 문제는 갑작스런 현안이 되었다.
    경상감사 조병호는 탐관오리의 징치나 농민항쟁 수습 등 내정에는 감사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지만 일본군과 관련된 문제에는 대책이 없었다. 일본군 혼성제9여단이 경복궁을 기습점령해서 벌어진 비상사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정부가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국왕은 인질 상태에 있었으나 위해를 당한 것도 아니었다. 내정간섭에 대한 소식은 속속 들어왔지만 정부는 전과 같이 경상감영의 보고를 받고 지시를 내리고 있었다. 더구나 동맹조약을 강제로 맺은 뒤에는 일본군에 협조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경상감영은 군량과 말먹이 제공, 인부 모집, 조선화폐 교환 등 일본군의 요구에 응해야 했다.
    나라가 위기에 직면하자 동학 조직이 가장 먼저 일본세력을 축출하려고 시도하였다. 무력을 통한 축출을 목표로 전쟁 준비를 시작한 것이다. 여러 군현에서 봉기를 준비하면서 이들은 스스로를 의병이라고 생각하였다. 동학도들의 첫 번째 공세 대상은 경상도 지역에 설치된 일본군 병참부와 군용전신소였다. 전신주를 쓰러뜨리거나 전선은 단절하는 것은 직접 일본군과 마주치지 않고 공세를 취하는 방법이었다.
    동학도들은 봉기를 준비하는 과정에 지주들에게 강제로 돈과 곡식을 헌납 받았다. 그런 과정에서 충돌이 벌어졌다. 예천에서는 민보군과 충돌해서 커다란 싸움이 벌어졌다. 이때 예천 인근에 집결한 동학농민군을 정탐하던 일본군 대위가 죽은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으로 일본 히로시마대본영이 진압군 증파를 결정하게 된다.
    2차봉기 이전의 갑오년 상황을 보면, 경상도의 동학농민군은 전라도의 2차봉기와 충청도의 기포령 이전에 봉기를 시작하였다. 예천 공방전을 전후한 여러 사건이 봉기상황을 잘 전해준다. 또한 민보군도 일찍 결성해서 동학농민군을 제어하였다. 일본군도 가장 먼저 경상도 지역을 순회하며 동학농민군과 전투를 벌였다.

    영어초록

    The governer of Gyeongsang-do is Cho Byeong-ho(趙秉鎬, 1847-1910) who is newly appointed in April 25th, 1894. He got related by married to King as well as had a career of some of the ministers. He had strong political background because His older brother Cho Kyeong-Ho(趙慶鎬) was a member of the family of Heong-Sun Dae-won-gun(興宣大院君)’s son-in-law and King Ko-jong’s brother- in-law.
    When Cho Byeong-Ho started for post, the uprising of the the Donghak Peasant Army had been occured at the Jeolla-do and Chungcheong-do. He was worried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to Gyeongsang-do. In those days, numerous farmers joined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it was out of government control in several county.
    The first problem which new governer of Gyeongsang-do must solve is reaching a peaceful settlement of the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Army. He dealt strictly with the corrupted officers while investigated the cause of the uprising. Because of continuous bad years for the rice crop, farmers suffered from a famine. Farmers resisting plundering government found their expression in the uprising of the Donghak Peakant Army in Gyeongsang-do. After the summer of 1894, Gyeongsang-do circumstances was same as Chungcheong-do. The uprising farmers were under arms and infringed on government authority.
    The urgent question was about the Japanese army in Gyeongsang-do. The Gyeongsang-do was helpless against the Japanese army. Japanese constructed supply bases and military telegraphs in number of areas in Gyeongsang-do for preparing the war against to Chinese. The Donghak Peasant Army started to be hostile to the Japanese army.
    Cho Byeong-Ho had authority its’ people but not for the Japanese. Gyeongsang-do could not take measure against the world politics. Neither the news from the capital was idealistic nor the central government was collapsed. Gyeongsang-do had to comply with the demands of the Japanese army such as providing military supplies, gathering workmans, and exchanging currency.
    The Donghak Peasant Army risen to the national emergency and attempted to driving out the Japanese army from Chosun. They regared theyself as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Their first target was Japanese supply bases and military telegraphs. It was the way that they did not need to confront the Japanese army directly.
    The state of Gyeongsang-do before 2nd uprising was the first place of farmers rising in revolt as well as organizing the Minbo-gun for controlling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Japanese army made the round and had first engaged in battle with the Donghak Peasant Ar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