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3공간에서 개인의 안정감 증대를 위한 형태심리 기반의 개인공간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 Space Design based on Formal Psychology for Enhancing an Individual's Sense of Stability in the Third Spa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06
15P 미리보기
제3공간에서 개인의 안정감 증대를 위한 형태심리 기반의 개인공간 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3호 / 139 ~ 153페이지
    · 저자명 : 이아로,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에서 대표적 상업 공간인 카페는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공공공간인 제 3공간으로 시작하였지만, 제한된 영역과 밀집된 인구로 인해 개인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개인이 안정감을 누릴 수 없는 한계점을 지닌다. 정량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 사이에 오류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3공간에서 개인의 심리 안정을 위한 개선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들이 함께 공유하는 공공공간에서 더 높은 안정감을 느끼도록 구성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범위는 대표적인 제 3공간인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 대중적으로 활용되는 제3공간인 카페로 제한된다. 디자인 제인을 위하여, 행태심리와 관련된 세가지 이론들을 고찰한다. 이론들은 물리적 거리에 따른 심리에 대한 연구인 근접학, 구석공간을 선호하는 조망과 피신 이론, 고정된 형태의 구조물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어포던스 개념이다. 행태심리를 바탕으로 이동가능하고 타인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한다. 디자인 결과는 카페의 주 고객인 20대로부터 평가되었다. (결과) 디자인 구조물은 타인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이동과 결합을 통해 1인 공간, 2인 공간, 4인 공간, 그 이상의 다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안정적인 공간을 구현하는 디자인은 어포던스 개념을 기반함으로써 구조적인 한계를 벗어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안된 디자인에 대한 평가 결과는 개인이 느끼는 심리적 요소와 카페를 이용하는 목적을 고려하며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디자인은 제한된 카페 공간을 개인의 공간 또는 소규모 그룹을 위한 공간으로 재구성할 수 있고, 타인의 시선을 차단함으로써 개인의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47명의 20대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 결과, 카페 고객의 행태심리를 기반한 디자인은 타인의 시선을 차단해줌으로써 안정적인 개인 공간 또는 지인들과 소통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타인의 시선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는 20대가 평가한 디자인의 점수는 혁신성 71점, 안정감 74점, 쾌적함 62점, 디자인 만족도 71점이며, 쾌적함을 보완해야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간적 혐오구조를 해결함으로써 도시 내에 지속적으로 세워질 공공공간 안에서 개인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 디자인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fe is a representative commercial space in modern cities and has become a third space, or a public space that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However, the modern cafe has a limited area and is often densely packed, which prevents individuals from achieving relaxation and mental stability.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psychological domains, development plans for individual psychological stability are needed in the third space.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structured to give individuals a higher sense of stability in a shared public space. (Method)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cafes, which are representative third spaces and are commonly utilized in modern society. For the design proposal, we deal with three theories related to behavioral psychology. The theories consist of the study of psychology according to physical distance: Proximity theory, Prospect and Refuge theory, and an Affordance theory. Based on behavioral psychology, the proposed design can be portable and block the view of others. The results of the design were evaluated by the cafe's primary customers, those in their 20s. (Results) The design structure can be customized, made portable, and can isolate the user so that various types of spaces can be constructed, including a single-person space, a two-person space, a four-person space, and many more. A design that realizes a stable space can be achieved outside of structural limits by using the concept of affordance, and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user. The evaluations from those in their 20s were analyzed, considering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the individual’s sensibility and his or her purpose when visiting the cafe.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it possible to transform a limited cafe space into an individual space or a space for a small group and to enhance the individual's sense of stability by blocking the view of others. (Conclusion) A survey of 47 people in their 20s verified that the proposed designs could create 1) stable and private spaces and 2) a space for private communication with acquaintances by blocking others' view. The designs, which were assessed by those in their 20s who were displeased with being in others’ field of vision, were given scores of 71 points for innovation, 74 points for stability, 62 points for comfort, and 71 points for design satisfaction.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further development of the design is needed for better comfort. The proposed design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spatial design so that individuals can feel secure in public spaces, and they will be continuously be built in the city to resolve the lack of personal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