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주택 외부조명 설치 현황에 따른 거주자의 범죄불안감 분석 연구 (Residents’ Fear of Crim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Exterior Lighting Applied to Multi-Family Housing)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0.04
44P 미리보기
공동주택 외부조명 설치 현황에 따른 거주자의 범죄불안감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디자인과 안전 / 11권 / 1호 / 179 ~ 222페이지
    · 저자명 : 황성은, 윤성빈, 최병윤, 강부성

    초록

    적정 조명 설치 및 인식성 확보는 가장 안전해야 할 주택이라는 공간에서 범죄불안감 저감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현장조사를 통해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조명에 따른 실제 조도 및 인석성과 거주자의 범죄불안감을 분석하여 범죄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조명 요인을 도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분석을 위해 총 4개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외부조명 설치에 따른 조도 및 야간인석성과 설문조사를 통한 거주자의 범죄불안감을 분석하여 범죄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조명 요인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측정 구간의 특징별로는 1) 조명의 설치 간격이 좁고, 조명 배열 방식이 편측인 경우, 그리고 측정 구간의 도로폭이 6m 미만인 경우 평균 수평면조도와 평균 연직면조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조명설치 간격이 좁고, 조명 배열 방식이 교차인 경우, 그리고 측정 구간의 도로폭이 6m 이상인 경우 평균 야간인식성이 높게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LED조명이 비교적 높은 세기로 설치되어 있고, 설치간격이 좁으며, 설치 높이가 높은 단지가 거주자의 외부공간 및 보행로 이용 활성화와 조명에 따른 적정성, 범죄불안감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설치 개수가 단지 면적에 비해 많을 필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행로의 평균 수평면조도와 평균 연직면조도, 야간인식성이 모두 비교적 높을수록 보행로 산책이 활발해지고, 보행로 조명에 따른 10m 이내의 타인 인식에 대한 적정성이 높으며, 보행로의 사각지대 인지 및 보행로의 범죄불안감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명 현황에 따라 보행로를 포함한 외부공간의 이용 현황, 사각지대 인지 여부, 조명의 적정성과 더불어 범죄불안감을 분석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외부공간별 조도 및 야간인식성을 조사 분석하여 이에 따른 외부공간별 거주자의 이용 현황 및 범죄불안감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nstalling proper lighting and securing recognizability is important to reduce the fear of crime in housing to be the safest spa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ghting factors, which affect the fear of crime, by analyzing real illuminance, recognizability and residents’ fear of crime in relation to exterior lighting installed in multi-family housing.
    For analysis, there was a field study targeting a total of four multi-family houses to investigate illuminance and night recognizability in relation to exterior lighting. Also,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idents’ fear of crime and lighting factors, which affect the fear of crime.
    The results of the field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s measured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lighting installation spacing was narrow, the lighting systems were arranged in a one-sided way and the sections measured had a roadway width of under 6 m, the average horizontal illuminance and the average vertical illuminance were both high.
    Second, when the lighting installation spacing was narrow, the lighting systems were arranged in a crossed way and the sections measured had a roadway with of 6 m and over, the average level of night recognizability was high.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when LED lighting installed had a relatively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the installation spacing was narrow and the installation height was high, it positively influenced all the activation of exterior space and pedestrian passage utilization, the appropriateness depending on lighting and the fear of crime,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did not need to be bigger than the area of complex.
    Moreover, when the average horizontal illuminance, the average vertical illuminance and night recognizability were all high in the pedestrian passage, a walk in the pedestrian passage became activated, the appropriateness of other person recognition within a distance of 10 m depending on lighting in the pedestrian passage was high, it was easier to detect blind spots in the pedestrian passage and the fear of crime reduc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 of use of exterior spaces including pedestrian passages, the recognizability of blind spots, the appropriateness of lighting and the fear of crim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lighting. It is anticipa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able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use of exterior spaces among residents and the fear of crime in more depth by examining illuminance and night recognizability of each exterior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디자인과 안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