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xperiential Consumption: The Relationship among Experience traits, Pleasure and Guilty, Reexperience in Experiential consump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9.04
31P 미리보기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8권 / 2호 / 523 ~ 553페이지
    · 저자명 : 정윤희, 이종호

    초록

    사람들이 물질적 풍요를 누리게 되면서 물질적 구매를 넘어선 경험의 구매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상황과맞물려 경험적 소비 분야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상당수의 연구는 각각의 개별 분야(예를 들어, 여가, 영화, 게임등) 내에서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들 연구의 근거가 되는 경험적 소비분야의 연구는 부족하다. 경험적 소비분야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 체계화시키기 위해서는 경험적 소비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소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이론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경험적 소비의 통합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접근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경험적 소비의 양면적 시각을 반영한즐거움과 죄책감을 주요 감정으로 제시하고 재경험 의도와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으며, 네 가지 경험특성-유희성, 상징성, 공유성, 유익성-이 즐거움과 죄책감에 주는 영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특정 경험영역을 연구범위로 하지 않기때문에 다양한 경험영역들을 포함하도록 표본추출 하였으며, 기존에 개별 경험분야의 연구들과 일반 마케팅 분야의 연구등을 참조해 수정한 항목을 측정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즐거움에는 유희성, 상징성, 공유성, 유익성의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죄책감에는 유희성은 긍정적 영향을, 나머지 상징성, 공유성, 유익성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한계점은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A recent focus of consumer research has been on experiential consumption, activities that are engaged in and pursued essentially for the pleasure they bring. Consequently, a growing number of researchers have started to explore the experiential consumption(Arnould and Price 1993; Celsi, et al. 1993; Goulding 2000). But most of the studies progressed in the separated experience field (ex. leisure, movie, exhibition, game, performance), so there are little researches that help us understand experiential consumption comprehensive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make up for this lack by developing a framework for better insight into the complex experiential consumption. This study emphasize general perspective of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focuses on developing a comprehensive model.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suggested playfulness, symbolism, inter-community, usefulness as experience traits. Also, we expect that these traits effect pleasure and guilt, in turn, pleasure and guilt effect reexperience intent. Survey research is employed to test hypotheses involving experience traits, pleasure and guilt, reexperience intent, Previous researches, such as marketing, emotion, leisure, hedonic research, have been referenced to measure constructs. We collected data involving various experience, and used 242 respondents to analyze these data. We analyze the data using LISREL structural modeling.
    All internal consistency measures are greater than .70, which is above the level set by Nunnally(1978) of .70, so the scales demonstrate internal reliability. In the measurement model, the fit indices for the model are as follows: x 2=394.77(168 d.f), GFI= .87, NFI= .88, CFI= .91, AGFI= .82, RMR= .073. Given the size of the sample,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x 2 statistic is significant. Therefore, the fit indices indicate satisfactory model fit. The proposed model was a good fit with the data(GFI= .97 NFI= .95 CFI= .96, AGFI= .80, RMR= .043),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Playfulness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pleasure( .40) and guilt( .13), Symbolism had positive effects on pleasure( .18)and negative effects on guilt( -.13), inter-community had positive effects on pleasure( .15) and negative effects on guilt( -.26),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s on pleasure( .13) and negative effects on guilt( -.35). And, guil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pleasure( -.13) and reexperience intent( -.28), while pleas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experience( .50).
    In the final section, we discussed several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managerial implications, including the potential to advance understanding experiential consumption, implying an enhanced ability to satisfy target consumers of these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