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도 광고에 대한 소비자 선호: 심리적 거리감 이론을 중심으로 (Consumer Preference for Railway Advertising: Focusing on Psychological Distance Theor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5.02
9P 미리보기
철도 광고에 대한 소비자 선호: 심리적 거리감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학연구 / 43권 / 1호 / 39 ~ 47페이지
    · 저자명 : 이정호, 김경진

    초록

    열차 광고는 광고주의 승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자 철도회사의 수입원이기도 하다. 그런데 승객이 어떤 열차 광고에 더 주목하는지 또는 어떤 조건에서 어떤 열차 광고 형태가 효과가 높은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승객 특성, 열차 특성, 행선지 특성에 따라 열차 광고의 선호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향상 초점 승객은 원거리 열차 광고 형태(예: 천장걸이형, 모니터형)를 선호하고, 방어 초점 승객은 근접 열차 광고 형태(예: 의자 커버형, 액자형)를 선호한다고 예상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향상 초점은 심리적 거리가 먼 대상과 적합성이 높고, 방어 초점은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대상과 적합성이 높다고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속철도의 경우 근접 열차 광고와 적합성이 높고, 일반철도의 경우 원거리 열차 광고와 적합성이 높다고 예상하였다. 동일한 거리에 대해 고속철도가 신속하게 이동하여 시간적 거리가 짧기 때문에 심리적 거리감도 짧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논리에 따라 행선지가 멀수록 원거리 광고 형태와 적합성이 높고, 행선지가 가까울수록 근접 광고와 적합성이 높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 승객 특성에 따른 열차 광고 선호 효과는 잘 나타났지만, 열차 특성이나 행선지 특성에 따른 효과 차이는 잘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향상 초점 승객이 방어 초점 승객에 비해 원거리 광고 형태를 더 선호하였다. 그런데 열차 특성 및 행선지 특성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고속철도와 일반철도, 그리고 먼 행선지와 가까운 행선지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 차이가 극명하지 않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경로 분석 결과 모니터 광고의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액자형 광고, 의자 커버 광고 순으로 효과가 높았다. 천장걸이 광고는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특히 고속철도의 모니터 광고 효과가 가장 컸는데, 이는 심리적 거리감 효과보다는 고속철도와 모니터 광고 간 이미지 적합성 효과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Train advertising serves as both a communication tool for advertisers and a revenue source for railroad companies, yet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its effectiveness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assenger preferences for advertisements vary based on psychological focus (promotion vs. preven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or destination. Results showed that promotion-focused passengers preferred long-distance ad formats such as monitor screens, while prevention-focused passengers favored close-range formats like chair covers and framed ads.
    However, the anticipated effects of train and destination characteristics were less evident. This may be due to passengers not perceiving significant psychological distance differences between high-speed and general rail, or between distant and nearby destinations. Empirical findings revealed that monitor ads were the most effective overall, followed by framed and chair cover ads, whereas ceiling-mounted ads had minimal impact. Interestingly, high-speed rail monitor ads were particularly impactful, likely due to their strong contextual and visual fit with the high-speed train environment rather than psychological distance differenc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tching advertisement types not only to passenger characteristics but also to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train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