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약용의 도서화(圖書畵) 감평(鑑評)에 관한 연구 - 도서화의 제발문과 제화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Jeong Yakyong’s Appreciative Criticism over Artistic Maps, Calligraphy, and Painting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7.11
33P 미리보기
정약용의 도서화(圖書畵) 감평(鑑評)에 관한 연구 - 도서화의 제발문과 제화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 / 51권 / 285 ~ 317페이지
    · 저자명 : 허정임, 황병호

    초록

    정약용(1762~1836)은 우리나라 사람으로서는 유일하게 중국의 『십삼경주소(十三經奏疏)』라는 책에 등재된 인물이다. 그는 학문뿐만 아니라, 도서화에 대한 감평을 지녀 수장(收藏), 감식(鑑識), 완상(玩賞), 장치(裝褫), 품평(品評)의 능력을 갖춘 인물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가 어떤 종류의 도서화를 완상하고 품평했으며, 얼마나 확실한 근거로 감정을 해 왔으며, 당시 사회에서 회자되는 소문이나 허황된 일에 대하여 어떤 근거를 제시하여 감평을 했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장과 장치, 완상 및 품평, 그리고 감식을 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수장적 측면에서는 그림을 외가의 작품으로 다수 수장하였고, 정밀을 요하는 실물에 가까운 그림 위주의 화풍을 선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장치적 측면에서는 가장 실용적으로 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첩(帖)’으로 되어 있었으며, 특이할 만 한 점은, ‘첩의 이름(제목)’을 지어준다는 점이었다.
    완상과 품평에서 도(圖)는 지도를 두 종류로 비교 설명한 것이 돋보이며 「기기도(奇器圖)」에서 설계도를 본 후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물임을 알았다. 서(書)는 서법의 평가 기준을 중국 역대 서예가들에 비유하여 비평하였고, 서예가 개인을 평할 때는 수준 높은 비평 용어가 돋보였다. 화(畵)는 정밀을 요하는 작품을 호평했으며 서화나 서화가들을 평함에 있어서 서로 비교하여 평한 것이 특징이다.
    진안(眞贋) 감식에서 정약용은 서화 자체를 눈으로 보고 의심이 되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철저히 고증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도’에 있어서는 사실에 근거한 실사구시적인 진안 감식이었다. 다수의 사람들이 감정을 의뢰한 것으로 보아 정약용이 이미 감정가로서 알려진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시대적으로 유행한 학풍인 양명학과 고증학의 영향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said that one of the virtues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had to equip was an aesthetic appreciation skill for artistic maps, calligraphy, and paintings. Jeong Yakyong(1762-1836) was the only Korean scholar who was registered in the book, Sipsamkyeongsoju(Annotation to the 13 Scared Books) by his own skills of collecting, discerning, mounting, evaluating, and appreciating artistic works. H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on what grounds and how Jeong appreciated works of art such as artistic maps, calligraphy, and paintings, mainly focusing on (1)his collection of artistic maps, calligraphy and paintings and picture mounting skills, (2)his appreciation and evaluation of artistic works, and (3)his insight for the artistic works.
    First of all, in terms of his possession of artistic works, Jeong had a collection of artistic works produced and collected by his mother’s side of the family, and preferred a painting style with realistic, accurate depiction. Judging from his keeping of the calligraphy in his early times, he can be considered as a person with the inclination of collecting artistic works and of calligraphic talent. He also kept various artistic maps, calligraphy, and paintings including a map drawn by Yoon Du-seo.
    Second, he kept a collection of books bound by a practical picture mounting skill, putting particular names in each book.
    In regard to his appreciation and evaluation for artistic works, he compared one map to another, and had an enough ability to apply the design drawing in Gigido to the actual places. He examined calligraphic styles comparing with Chinese calligraphers of many generations. Brilliantly using critical terms of high standard, separately judging handwritings with slender brushes and handwritings with big brushes, he was an excellent critic o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Particularly he highly praised miniature paintings, comparing each work to another in review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inally, for his insight for the artistic works, firstly, Jeong appreciated calligraphy and paintings with his eye and when in doubt, if necessary, he reflected and corrected them in terms of historical facts. Secondly, he appreciated artistic maps empirically with his aesthetic insight. Thirdly, when considering his appraisal requests from people, he must have been already a well-known connoisseur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Judging from the facts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Jeong Yakyong was an outstanding intelligence at the time, well-quipped with the skills for collecting, discerning, mounting, evaluating, and appreciating artistic works.
    It can also be suggested that he may be under the influence of Yangmingism and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Yi Ik and An Jeongbok from the ‘Namin(Southern) Faction.’ It, however, is regretable that he inclined to collect the works of the Namin Faction to show his partiality. However, his enthusiastic zest for artistic maps, calligraphy, and paintings was great enough for the inhabitants and his descendants in Gangjin area to be proud 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교육연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