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윤리교육을 위한 동료 의료인 간 갈등에 대한 연구 (A Questionnaire Study on Conflict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for Teaching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08.12
18P 미리보기
의료윤리교육을 위한 동료 의료인 간 갈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윤리 / 9권 / 2호 / 17 ~ 34페이지
    · 저자명 : 최규진, 최은경, 홍정화, 김수연, 이기헌, 김옥주, 박재형

    초록

    환자 건강을 목표로 하는 성공적인 팀 접근을 위해서는, 병원 각 직종 간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 및 갈등의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계윤리적인 관점에서, 병원 내 다양한 직종 간의 관계 및 갈등에 대하여 그 정도 및 원인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의대 4학년 학생들을 위한 의료윤리 교육자료 개발연구의 일부로서, 직종 및 인적 특성, 근무 중 타 직종 접촉 빈도, 직종 간 관계에 대한 인식, 직종 간 갈등의 정도 및 그 원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갈등 조절을 위한 방안 등에 대한 설문 문항이 개발되었고, 2006년 7월1일부터 8월31일 사이 당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이었던 다양한 직종의 직원들에게 자가기입식 무기명 설문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전체 설문 대상 중 10명 미만이었던 무응답자를 제외한 총 353명이 최종 분석 대상에 포함되어 응답 내용의 빈도 분석이 시행되었다. 응답한 353명 중 54.1%가 근무 연수 5년 미만인 직원이었고, 직종은 전공의, 간호사, 보건직이 각각 95명(26.9%), 124명(35.1%), 85명(24.1%)로 전체의 86.1%(304명)를 차지하였다. 일상 업무 중 접촉 다빈도 순위에 대한 질문에서 전공의는 간호사 및 보건직 순으로, 간호사는 전공의 및 간호사 순으로, 보건직은 간호사 및 전공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바람직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타 직종 및 갈등이 많이 발생하는 타 직종에 대한 두 질문에, 전공의는 모두 간호사를, 간호사는 모두 전공의를 지목하였으나, 보건직은 바람직한 관계 형성이 어려운 직종은 전공의를, 갈등 발생이 많은 직종은 간호사를 지목하였다. 갈등 발생의 원인에 대한 다중응답 질문에는 불친절하거나 반말을 사용하는 등의 부정적인 태도(166명), 사무착오나 업무분담문제 등의 업무적 요인(141명), 응급상황(57명), 부적절한 호칭(19명) 등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갈등 조절을 위한 방안에 대한 자유 응답 질문에, 전공의는 직종 간 대화 프로그램 도입, 타 직종 업무 이해 증진 교육, 명확한 업무 분담 등의 방안을, 간호사와 보건직은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 권위적 태도 지양, 인원 확충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직종 간의 갈등에 대한 원인이 분석되고 개선 방안이 제시되었다. 업무 개선 뿐 아니라 타 직종을 존중하는 태도 형성이 필수적이며, 이를 교육하기 위한 여러 실천 프로그램들이 요망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objective
    As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to provide better healthcare,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conflict management are important among various health professionals in a hospita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and its managements among doctors, nurse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a hospital.
    Subject an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educational resource development of ethics for medical students.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health professionals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receiv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current status and solutions of their conflict management and perceived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s. 353 responses were included finally for analysis.
    Result
    Of 353 subjects, 54.1% had less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86.1 % (n=304) were resident doctors (n=95, 26.9%), nurse (n=124, 35.1%), or other health professionals (n=85, 24.1%). Contact frequency was asked and residents answered in the order of nurses then other health professionals, nurses answered residents then other nurses, other health professionals answered nurses then residents to be contacted more frequently. The occupation that was most difficult to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asked and residents and nurses answered each other while other health professionals answered residents. The occupation that caused conflict most frequently was also asked and residents and nurses answered each other but other health professionals pointed out nurses. The reason of conflict was asked by a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inhospitable attitude (n=166), allotment of activities (n=141), emergency situations (n=57), improper titles (n=19) were replied. Residents suggested solutions of these conflicts a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programs, education of other occupations activities, clear job distribution. The solutions by nurse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were respecting each other, avoiding authoritarianism and increasing personnel.
    Conclusion
    Respecting other occupations as well as enhancing work process is important in conflict manage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