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관한 10년간 판례의 흐름 (Flow of 10 year's Court Precedents on Exclusionary Rule)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7.06
49P 미리보기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관한 10년간 판례의 흐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9권 / 1호 / 193 ~ 241페이지
    · 저자명 : 김승주

    초록

    2007년에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규정 신설과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전면적 도입을 선언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선고 이래 10년간 우리나라에서도 위법수집증거 배제의 법리를 적용하여 증거능력을 판단한 대법원 판례가 상당수 형성․축적되어 왔다. 그 판례의 흐름을 조망해 보면, ① 증거 수집과정에 수사기관의 절차적 위법이 있다고 판단되면, 원칙적으로 그 위법의 중대성을 묻지 않고 해당 증거를 배제하는 것으로 추정하되(제1단계 : 위법의 중대성 불문), ② 적법절차 준수에 따른 기본권 보장의 요청과 실체적 진실 규명을 통한 정당한 국가형벌권 행사의 요청을 놓고 비교형량 이론 또는 이익형량적 사고를 통하여 예외적으로 그 증거능력을 인정하기도 하며(제2단계 : 적법절차 원칙과 실체적 진실 규명 사이의 비교형량), ③ 헌법 제12조 또는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규정에 따른 ‘적법한 절차’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구현하는 핵심적 가치라는 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헌법상 적법절차 원리와 기본권 보장의 중시)는 3가지 특징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대법원은 압수․수색영장에 기재된 혐의사실과 실제로 수집된 증거 사이의 관련성을 비교적 엄격히 심사하면서도, 여러 단계의 절차를 밟아 이루어지는 전자증거의 압수․수색에 관한 적법성 여부가 문제되는 준항고 사건 등에서는 전체적․종합적으로 그 적법 여부를 판단하는 유연성도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쟁점을 비롯하여 제1단계의 절차적 위법 여부를 지난 10년간 대법원이 판단한 주요 사례를 수사․재판의 구체적 영역별로 요약, 정리하여 보았다. 나아가 비교형량론이 본격적으로 작동하는 제2단계에서는 특히 2차적 증거에 대하여 인과관계의 단절․희석 여부를 중심으로 예외적으로 그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례가 축적되고 있으며, 이 국면에서는 미국법상 독수과실의 이론이나 그 예외 이론, 나아가 일본, 독일법상의 선례들도 일정 부분 투영된 것으로 새길 수 있다.

    영어초록

    Since Criminal Procedure Act and Supreme Court declared the introduction of Exclusionary Rule in 2007, Supreme Court of Korea has accumulated several precedents about this rule in last 10 years.
    These precedents has shown 3 features ; ① If an investigative's act in the process of acquiring evidence is ruled illegal, this evidence is presumed to be excluded from the pools of evidence irrelevant to the degree of illegality, in principle. ② Exceptionally, some evidences can be admitted through the fair comparison of interests, between the request to keep Due Process and the needs to find Substantial Truth. ③ Due process should be taken seriously for the realization of constitutional civil rights.
    According to ① or ③ features, Supreme Court has held tight grip ab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fact of suspicion written on search warrant and the evidence acquired according to this warrant. Including this theme, This article settles the flow of precedents in last 10 years shown at the various, individual cases.
    Otherwise, precedents related to ② features has been formed especially on the admissibility of secondary evidence, which has been judged with priority given to dilution or disconnection of causality. These precedents show the influence of 「fruit of a poisonous tree」 doctrine or the other exception theories of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effects of Japanese or German prece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