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 田愚의 道德心 啓發과 儒敎文化 傳承 (Ganjae Jeon Woo's Cultivation of the Sense of Morality and the Inheritance of Confucius Cul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09.06
30P 미리보기
艮齋 田愚의 道德心 啓發과 儒敎文化 傳承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36호 / 111 ~ 140페이지
    · 저자명 : 이천승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艮齋 田愚(1841~1922)가 제시한 성리설의 함의를 재검토하는 한편, 강학활동을 중심으로 유교문화 전승을 위한 그의 노력을 살펴보려는데 있다. 간재는 조선 성리학의 말미에 위치해 있으므로 그의 사상은 기존 논의의 흐름과 쟁점을 일별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가 제시한 몇 가지 명제들을 주자학 혹은 율곡학 일반론으로 환원시키거나 표면적 언급에 치중하여 오독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간재 사상의 주요 명제로 인식된 “心本性”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는 본성 실현의 계기로서 도덕적 마음은 본성과 동일시 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제아무리 도덕적인 마음일지라도 결국 기의 범주에 속하는 마음이기에 그 지향점인 본성과 일정한 거리감을 두고 본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그는 ‘心本性’이란 함축적 표현을 통해 본성에 대한 강조와 더불어, 일탈하기 쉬운 마음의 자의성을 본성이라는 기준에 의거하여 바로 잡으려는 노력을 촉구한다. 아울러 간재는 “性師心弟”을 통해 본성이 비록 현실적 작용력은 없지만 존재한다는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마치 사제동행처럼 스승으로서의 본성과 그것을 본받아 구현하려는 도덕적 마음을 긴밀히 연계시키려는 것이다. 그가 제시한 또 다른 명제인 “性尊心鄙” 역시 이러한 사상에 기초한다. 이는 결국 본성의 가치를 소중히 생각해야 된다는 기본 입장에서 출발한 것으로 그 본연의 상태와 합일되는 도덕심을 계발하려는 그의 일관된 논리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간재의 성리설에는 敬을 통해 본성에 일치될 수 있는 마음의 수양공부가 강조된다. 본성의 가치에 모든 것을 주목한다면 흐트러지기 쉬운 마음도 바로 잡을 수 있고, 왜곡된 현실도 언젠가는 제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현실의 좌절보다는 희망의 싹을 키워나가려는 그의 노력은 지속적인 강학활동을 통해 유교문화전승의 실마리를 이어갔다. 비록 간재의 삶이 현실과의 소통에 한계는 있었지만, 그가 보여준 엄격한 자기절제와 본성에 대한 각성의 촉구는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 흔들리지 않는 윤리적 가치규범의 한 전형으로 자리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reevaluate the implications of Neo-Confucianism of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1841~1922) and look into his efforts to inherit Confucius culture focusing on his teaching. Ganjae's thoughts are a tendency to reduce his theses to the general ideas of Zhuxi's or merely give superficial comments.
    Therefore, this paper begins with an attempt to understand his main thesis of "Simbonsung (心本性)." He argues that the moralistic mind that helps realize one's nature cannot be identical with the original nature. No matter how moralistic one's mind is, it belongs to the area of Chi (氣). Thus one should prioritize the original mind and keep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two as one always pursues to realize the original nature.
    Ganjae sees that even if our nature does not have any real force to rule our lives, merely by its existence it is important enough, as expressed in Sungsa-simje (性師心弟: Nature is a teacher and the mind is a pupil). As in the companionship between teacher and pupil, he wants to closely connect nature as the teacher with the moralistic mind that tries to mimic the teacher's way. Originated from his basic principle that puts high values on nature, it shows his consistent rigor that insists on the cultivation of the moral sense that can not be differed from the status of nature.
    The significance of Ganjae's thoughts lie in the fact that he emphasize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at may become nature through "Kyung (敬: Respect)." His efforts to keep the spirit of hope up rather than allowing any despondence enabled the continuance of the Confucius cultural heritage through his teaching. Though his communication with reality was limited, his strict self-restraint and his appeal for the self-awareness of one's true nature make it a typical ethical response that can provide a stable moral standard regardless of changing circumst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