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의 人物性論 고찰 −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 (Thoughts on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ory - With a Focus on Jungyonggie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0.11
28P 미리보기
艮齋의 人物性論 고찰 −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04호 / 27 ~ 54페이지
    · 저자명 : 길태은

    초록

    이 연구는 간재의 인물성론에 대해 「中庸記疑」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간재는 호락논쟁 이후 세대로서 19세기 중반 이후 성리논변에 대해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다. 그는 주자학을 기본으로 율곡 성리설과 인물성동, 미발심체선, 성범심동 등으로 요약되는 낙론계 성리설을 계승하였다. 여기서 다루려는 간재의 인물성론 해석 역시 자연과 인간 본질에 대한 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중용기의」에 나타난 주요 논점은 2가지로 요약하여 볼 수 있다. 첫째, 경학론에서는 성리심기론⋅리무위기유위에 대해 儒門主理의 ‘正學’임을 입언하며, 도를 배우려면 經을 먼저 익히기 위해 ‘識字’를 경학의 조건으로 제시하며, 표준적인 학문을 전수하기 위해 ‘諺解’에 심혈을 기울였다. 둘째, 尊性論에서 ‘유학의 도’를 제시하는 일관된 정신은 심본성 등의 존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간재 경학의 바탕에는 ‘심시기로서의 精爽의 기로 명기해야만 존성이 가능하다’는 전제가 내포되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간재의 인물성론 해석에서는 인간의 본질 이해와 人物性同에 대한 특징을 검토하였다. 간재는 인간의 본질을 성리심기⋅기질체동의 구조로 풀이한다.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 볼 때 간재의 인물성동은 낙론계열의 전통을 계승하는 모습에서 주자의 성동기이 사상이 근저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간재는 자연과 인간의 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인간 본성의 실천적 구현의 문제를 심본성⋅성사심제로 밝히며, 인간다움을 실현하는 유학의 이상을 추구하려고 노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ory focusing on Jungyonggieu. Ganjae was born a generation after the Horak controversy and had been at the center of the argument on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since the mid-19th century. He inherited the Nakron Seongri theory based on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which can be summarized as consisting of Yulgok's Seongri theory, Inmulseongdong, Mibal-sim Chae-seon (undetected principle of the mind), and Seongbeomsim-dong(聖凡心同). The interpretation of single line theory of Ganjae that will be discussed here also raises some questions about nature and human nature.
    The leading arguments in Doctrine of the Mean can be summarized as consisting of two main ideas. First of all, Gyeonghak theory states that Neo-Confucianism and Limu Yu-gi Youyu is a “correct study” of the Yumun Juri. For moral learning, “sikja” was suggested as a condition of study. In addition, the study was devoted to “Eonhae” (interpretation) to convey the standard learning. Second, a consistent principle that suggests the morals of Confucianism is represented as “Jon Sung (reaching the highest level of human nature/the noble disposition) ”in the theory of Jon Sung.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foundation of Ganjae's Gyeonghak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is only possible to reach the highest level of human nature by recording it with the sprits and energy as SimSigi (Your heart is your energy).” In the interpretation of Ganjae’s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Inmulseongdong an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have been reviewed. Ganjae explains human nature in terms of structures of Seongri Simgi (human nature and mine) and Seongdong-gi. To judge from the trend of Korean Neo-Confucianism, Ganjae's Inmulseong theory inherits the tradition of Nakron Seongri theory, which shows the ideology of Zhu Xi's Neo-Confucian philosophy to be at its root. Ganja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nature, consequently revealing the problem of practical realization of human nature with Sim bon seong and Sung-sa Simjae, and sought to pursue the ideal of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