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과 성인 간 달리기 움직임 패턴의 차이 (Differences in Movement Patterns during Running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3.09
8P 미리보기
청소년과 성인 간 달리기 움직임 패턴의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학회 / 21권 / 3호 / 287 ~ 294페이지
    · 저자명 : 이인제, 박재영

    초록

    달리기는 기본 이동기술로서 신체의 위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이다. 달리기는 보행주기(gait cycle)를 가지고 반복되기 때문에 비정상적 패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급성 및 만성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청소년은 신체적으로 작은 성인이 아니기 때문에 손상 관리 관점에 있어서 성인과 다르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청소년과 성인 간 달리기시 하지 움직임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청소년의 달리기 생체역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과 성인의 달리기 움직임 패턴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청소년 12명과 성인 12명이 모집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준비운동 및 과제 적응 시간을 가진 후 적외선 반사 마커를 신체에 부착한 채로 3회 달리기를 수행하였다. 이후 3차원 발목, 무릎, 엉덩관절의 특정 시점에서의 관절 각도 및 한걸음주기(stride)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Mann-Whitney U 검정과 앙상블 곡선 분석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청소년은 성인과 다른 특정시점에서의 관절 각도 및 움직임 패턴의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본 연구에서 관찰된 청소년의 달리기 움직임 패턴은 손상 기전과 관계 높은 형태의 동작으로 이루어졌으며 운동수행력 저하 가능성이 존재했다. 따라서 청소년이 건강한 신체와 삶을 영위하기 위해 연령대 신체능력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unning is an important movement skill of fundamental locomotive skills to make movements of body position. As running repeats gait cycles, it may result in acute and chronic injuries accumulating micro damage to the body by abnormal movement patterns. Adolescents are not physically same as adults. Given the reason, they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compared with adults in a perspective of injury prevention. It is crucial to identify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movement patterns during running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during running compared with adults. Twelve adolescents and 12 adul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conducted the warm-up and familiarization sessions before the main task. They ran three times on the 9 m run-way with reflective markers attached to the bony landmarks. We extracted the 3D joint angles on discrete points and time-series data of ankle, knee, and hip joints for a stride. The Mann-Whitney U test and ensemble curve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Our findings revealed that adolescents had different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during running for both of discrete points and movement patterns (p<.05). In conclusion, movement patterns of adolescents during running may be related to increased injury risk and decreased physical performance. Therefore, age-specific exercise programs are needed to maintain well-being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스포츠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