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Study 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Principle of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5.05
26P 미리보기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장애와 고용 / 25권 / 2호 / 79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정진화

    초록

    본 논문은 실제로 근로 능력이 있으면서 취업기회 부족으로 직업생활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과 장애인의 질 높은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패널 30명에게 첫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 둘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성적 평가, 셋째,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자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20부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과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을 살려 검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일반화 하는 과정이 진행되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디자인, 검사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환자정보 관리, 난이도, 운영방법 등 총 6가지를 제시하여, 장애인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지원, 서비스의 확대, 고용유지, 전문성이 강화되어 보다 많은 장애인의 고용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검사 프로그램 결과에 따라 치료가 연계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장애인의 근로현장에서 간단한 교육을 받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 되어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in order to accelerate high-quality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who do not participate in vocational life due to lack of employment chances regardless of their work competence. For this, targeting a panel of 30 professionals, matters were investigated such as first, what the present state and limit of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with paper and pencils are; second, what the present state and limit of computerized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are; third, whether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to settle the problems is necessary or not; and fourth, what considerations ar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20 copies. Based on th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As the result, by bringing out strong points of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using paper and pencils and computerized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the development of examination programs is necessary. The programs should be used clinically from processing the course to generalize the developed programs. Also, exports said that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promot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by proposing a total of six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programs like design, test program, data control, management of patient information, degree of difficulty and easiness, and operation methods. On the basis of this study, by developing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test programs fitting to Korean situations, from strengthening support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expansion of the service, employment maintenance, and professionalism, it is thought that employment effect of more disabled people can be increas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test program results,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s that treatment can be connected is needed. In order that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programs can be available by the simple education for disabled people at work sites, the development should be rea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애와 고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