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에 따른 창살문양의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Lattice Patterns According to Visual Perception of Rudolf Arnheim)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5.09
10P 미리보기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에 따른 창살문양의 조형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3권 / 3호 / 173 ~ 182페이지
    · 저자명 : 조정화, 한승문

    초록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토대로 창덕궁 창살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찾아 문화정체성에 따른 디자인 개발 가능성을 모색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인 창덕궁은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전통창살문양 또한 다양하다. 이러한 창살문양을 시지각 특성 중 역동성, 공간성, 유사성, 연속성의 4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창살문양에서의 역동성은 빗살 문양(인정전, 대조전, 부용정, 영화당, 연경당)의 사선에 의한 경사와 빗완자살문양(희정당, 대조전)의 유기적 형태의 순환에 의한 시지각적특성으로 역동성이 극대화 되었다. 둘째, 공간성은 소슬빗꽃살 문양(인정전)에서 선과 면의 중첩으로 공간성이 강화 되었으며, 아자살 문양(희정당, 대조전, 낙선재)은 착시에 의해 공간성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셋째, 유사성은 용자살 문양(희정당)에서 형과 위치의 유사성으로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져왔으며 띠살은 형과 방향의 유사성으로 균형감을높여주는 조형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넷째, 연속성은 정자살문양(내의원, 낙선재, 부용정, 연경당)에서 방향성에 의한 연속성으로 하나로 묶어 지각되도록 작용하였으며, 완자살 문양(대조전, 낙선재, 부용정, 연경당)에서는 율동에 의한 연속성으로 시각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창덕궁창살문양은 구조적으로 시지각적 사고에 의한 구조 방식으로조형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정체성을 담보로 하는 브랜드디자인 개발에 있어 창살문양을 모티브로 시지각론에 입각하여 디자인을 한다면 소비자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상승 시킬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design development according to cultural identity from lo oking fo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attice patterns of Cha ngdeok Palace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ies of Rudolf Arnheim. Changdeok Palace as the study target is a world heritage site designated by UNESCO. The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are diverse too. The analysis result from classifyin g the patterns into four items such as dynamics, spatiality, similarity, and continuity among visual perception characteri stics is like the next. First, dynamics of the Lattice patterns were maximized by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lope by diagonal lines of comb patterns and circulation of organic forms of bitwanjasal lattice patterns. Second, spatial ity was strengthened by overlap of lines and surfaces in sos eulbit kkotsal patterns. Ajasal patterns acted as a factor to increase spatiality by optical illusion. Third, about similarity, overall unity was taken from similarity of shapes and locati ons of yongjasal patterns. Ttisal patterns acted as a formati ve element to heighten a sense of balance from similarity of shapes and directions. Fourth, continuity acted to be perceiv ed to look like bring lattice together by the directional natur e of jungjasal patterns. In wanjasal patterns, continuity by rhythm acted as a factor to stimulate sight. Like these, the way Changdeokgung lattice pattern structured i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In result, if the brand design develops in a way the cultural identity as collateral on the basis of the lattice pattern motif with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it will be surely raise customer satisf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