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각군읍지와 『읍지대장』 (Each County Gazetteer and Eupjidaejang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1.12
38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각군읍지와 『읍지대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9호 / 273 ~ 310페이지
    · 저자명 : 이재두

    초록

    1899년(광무 3) 대한제국 내부에서는 13도 관찰부에 훈령을 내려 각군의 읍지와 지도 2건씩을 한 달 안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동안 1899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한성부를 포함한 전국 342개 부ㆍ군에서 제작한 읍지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는 못했다. 그런데, 규장각 소장의 『읍지대장』과 규장각의 청구기호는 1899년지를 확인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총독부 참사관실에서 조사한 『읍지대장』은 각군읍지를 도별 군별로 번호와 읍지명을 기록하고 있는데, 일부 읍지를 제외하면 1899년에 제작한 312개 군의 읍지 목록이다. 『읍지대장』에 실린 5종 38개 읍지와 강원도 읍지 23종은 내부의 읍지수상령과 관계없는 읍지이다. 강원도의 22종 25개 고을 33개 읍지는 1910년대 초반 총독부 참사관실의 지시로 강원도청에서 제작한 것이며, 강원도 양양군 읍지인 『현산지』도 1911년경에 편찬한 읍지이다. 장서각은 강원도 26개 군의 1899년지를 소장하고 있다.
    규장각 도서 중에는 1899년에 제작한 각군읍지가 경기도부터 함경북도까지 일정한 청구번호대에 연속해 있다. 1899년 당시의 342개 부ㆍ군 가운데, 강원도 26개 군을 제외하면, 『읍지대장』에서는 한성부, 경상북도 경주군, 평안남도 성천군, 함경남도 함흥군의 4개 읍지만 확인되지 않는다. 그런데 『읍지대장』과 규장각 목록에 실려 있던 평안북도 영변군 읍지는 분실한 상태이며, 성천군 읍지는 ‘후사본 읍지’ 중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규장각과 장서각 도서에서 1899년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는 한성부ㆍ경주군ㆍ영변군ㆍ함흥군뿐이다.

    영어초록

    In 1899, the Korean Empire ordered the 13th Provincial Observatory to submit two Eupjis and maps of each county within a month. In order to properly grasp the local situation during the Korean Empire, it would have been desirable for each county to produce the same type of Eupji(County Gazetteer) by presenting the items in detail. However, at that time, only Jeollabuk-do compiled Provincial Eupji with the same format. In other provinces, each county made it possible to produce it on its own, so the previously compiled County Gazetteer was transferred as it was copied or printed. Thus, despite the large number of studies on the 1899 Eupjis,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grasp the reality of the County Gazetteer produced by 342 counties nationwide, including Hanseongbu.
    However, Eupjidaejang and the book number of Kyujanggak provide very important clues in confirming the 1899 Eupjis. Eupjidaejang, which was surveyed by the Governor-General’s Office, records the number and Eupji names of each county by province, and is a list of Eupjis of 312 counties produced in 1899, excluding some Eupjis. Comparing with the book number of Kyujanggak, it is continuously in a certain number range from Gyeonggi-do to Hamgyeongbuk-do. However, 38 eupjis of 5 kinds of Eupjidaejang are not related to books produced by the instruction of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33 eupjis of 25 counties of 22 kinds in Gangwon-do were produced by the Gangwon-do Office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or-General’s Office in the early 1910s.
    Considering that Jangseogak houses Eupjis in 1899 in 26 counties in Gangwon-do, only four Counties in Hanseongbu, Gyeongju-gun, Seongcheo-gun, and Hamheung-gun are not identified in Eupjidaejang. Eupji of Yeongbyeon-gun, Pyeonganbuk-do, is found in the list of Eupjidaejang and Kyujanggak, but has been lost. The County Gazetteer of Seongcheon-gun is identified among the ‘Copied Eupjis’. Therefore, among the 342 counties, which wer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at the time of 1899, only Hanseong-bu, Gyeongju-gun, and Hamheung-gun, Yeongbyeon-gun, were not identified in Kyujanggak and Jangseog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