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미자유무역협정과 NAFTA의 투자보호조항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Investment Protection under Korea-US FTA and NAFT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5 최종저작일 2008.04
24P 미리보기
한미자유무역협정과 NAFTA의 투자보호조항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3권 / 1호 / 99 ~ 122페이지
    · 저자명 : 서철원

    초록

    한미자유무역협정의 투자보호조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NAFTA와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미자유무역협정의 투자보호조항은 NAFTA 투자보호조항의 운영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비판과 지적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변경된 ‘신버전 NAFTA’이기 때문이다.
    한미자유무역협정과 NAFTA의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실체법으로는 대우의 최소기준과 국유화 분야에 중요한 차이가 있다. 대우의 최소기준에서는 이를 결정하는 기준이 국제관습법이라는 것, 공정하고 공평한 대우와 충분한 보호와 안전이라는 것이 국제관습법에 의한 보호의 일부이고, 국제관습법에 의한 보호에 추가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01년의 NAFTA 자유무역위원회 해석지침 채택 이후 의 NAFTA 중재사건은 국제관습법의 발전적 성격이라는 것을 이유로 그 내용이 1920년대의 Neer 사건에서의 기준과 달라졌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발전의 근거로는 공정하고 형평한 기준 등을 대부분의 투자보장협정에 규정하여, 국가들의 외국투자에 대한 보호의 관행이 바뀌었다는 것을 들고 있다.
    그런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명확하지 않다. 앞으로 국제관습법의 발전적 성격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의 새로운 내용을 담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한미투자보호협정에서의 투자 중재에서 중요 이슈가 될 것이다.
    국유화와 관련해서는 간접수용이 있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3가지 기준을 명확하게 한 것, 공공복리를 위한 비차별적인 정부행위는 드문 상황이 아니면 간접수용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하는 변경이 있었다. 이로 인해 Methanex 사건이전의 판정례와 비교하면 정부의 재량성이 넓게 인정될 수 있는 여지는 늘어났고, 간접수용이 인정될 수 있는 여지는 줄었다. 그런데 Methanex 사건에서 적용된 기준과 비교하면 오히려 반대의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다. Methanex 사건에서는 공공목적을 위한 비차별적인 정부행위가 간접수용이 되기 위한 기준으로 ‘정부가 특별히 약속한 경우’만을 들고 있기 때문이다. 드문 상황의 범위가 미국법상의 기준을 수용할 것인지의 여부 혹은 다른 기준으로 발전할 것인지의 여부를 지켜봐야 하겠다.
    절차적인 면에서는 투명성제고, 중재절차 남용방지, 그리고 중재판정의 일관성제고란 면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

    영어초록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nvestment chapter of Korea-US FTA,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US FTA and NAFTA is needed. The reason is that the investment chapter of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is a revised version of NAFTA investment chapter.
    In terms of substantive provisions, the main changes revolve around minimum standard of treatment and expropriation. In relation to the minimum standard of treatment, there have been two main issues:first, is the requirement to give fair and equitable treatment independent from (or in addition to) the requirement to guarantee the minimum protection required by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econd, what is the standard of treatment guaranteed by international law?
    The investment chapter of Korea-U. S. FTA clarifies the first issue by providing that the meaning of international law is limited to international customary law, that fair and equitable treatment is part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nd that a breach of another provision of NAFTA or a separate international agreement does not establish the failure to give minimum standard of treatment. But the second issue has not been clarified.
    The NAFTA arbitral awards after the 2001 Interpretation tend to include the contents of fair and equitable treatment within the meaning of minimum standard of treatment by pointing out the evolving character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With regard to expropriation, there are three significant changes. Firstly, it makes clear that a measure tantamount to expropriation is not redundant with indirect expropriation. Secondly, it provides that the determination of indirect expropriation must consider, inter alia, (i) the economic impact of a government; (ii) the extent to which the government action interferes with reasonable investment-backed expectation; and (iii) the character of the government action. Thirdly, it reads that except in rare circumstances, non-discriminatory regulatory actions designed to protect public welfare do not constitute indirect expropriation. These changes reflect US law and practice, as required under 2002 Bipartisan Trade Promotion Act.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US cases and NAFTA cases, it seems to be that the extent of ‘except in rare circumstances’ will be the most critical issue in expropriation claims under Korea-US FTA.
    In terms of procedural provisions, the investment chapter of Korea-US FTA differs on three significant point. Firstly, it provides preliminary procedure and threat to pay costs and attorney fees, in order to curb frivolous claims. Secondly, it improves the transparency and openness of arbitral procedure. And Thirdly, it anticipates the establishment of appellate mechan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