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소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Cho So-Ang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3
17P 미리보기
조소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8권 / 1호 / 27 ~ 43페이지
    · 저자명 : 김기승

    초록

    대한민국 정부는 1919년에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여 1948년에 수립되었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명시된‘독립, 민주, 균등, 국제평화’의 이념은 대한민국정부를 중심한 독립운동의 과정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1941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제정한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계승한 것이었다. 대한민국건국강령은 조소앙이 기초했는데, 삼균주의에 사상적 토대를 두고 있다. 조소앙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미친 영향은 크게 3시기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망명 시기 조소앙은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독립한후 의 새로운 국가는 대한제국을 계승하되 민주주의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그는 1917년 7월 <대동단결의 선언>을 기초하였는데, 여기서 황제 주권의 소멸과 국민주권주의 원칙을 제시했다. 또한 국내 동포의 위임을 받아 해외 독립운동가들이 임시정부를 수립할 것을 주장했다. 1919년에 작성한 <대한독립선언서>에서는 대한 민주의 자립과 균등사회 건설을 제시함으로써‘독립, 민주, 균등’을 독립운동의 중심 가치로 설정했다.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최초의 헌법이라 고 할 수 있는 <임시헌장>을 기초하여 대한민국의 헌법적 토대를 확립하였다. 이어 1941년 12월에는 삼균주의에 토대를 둔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기초하여 대한민국 건국의 구체적 계획을 수립했다.
    1945년 광복 이후 귀국한 뒤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정식 정부로 만들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미소공동위원회를 통해 5년간의 신탁통치를 시행하기로 한 미군정의 정책에 반대하는 노선을 견지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반탁독립운동은 일제시대 독립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었다. 특히 그는 국민의회 의장으로서 미군정의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대립하여 임정 중심의 국회 설립 준비운동을 전개하였다. 1947년 9월 미국이 신탁통치 방안을 폐기하고 한국 문제를 유엔으로 이관했다. 유엔에서는 남북한 총선거에 의한 정부 수립을 결의했다. 그러나 북쪽에서 유엔 선거감시위원단의 입북을 거절하여 남한 만의 총선거가 결의되었다. 조소앙은 남북한 총선거에 의한 정부 수립이라는 유엔의 결의에 찬성하였다. 그러나 남한만의 선거에 의한 정부 수립은 민족을 분단시키는 것이라고 하여 반대하여 김구와 김규식이 중심이 된 남북협상운동에 참여하였다.
    1948년 5월 10일 총선거에 의해 국회가 구성되고,국회에서는 헌법을 제정했다. 제헌 헌법에 의거하여 8월 15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었다. 조소앙은 5.10선거에는 불참했지만,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정당성을 인정했다. 왜냐하면 민주주의적 절차에 의해 수립된 정부였고, 대한민국의 헌법에 자신이 체계화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이념을 계승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는 대한민국 정부를 단독 정부라고 생각하지 않고 통일정부를 향한 하나의 과도 단계라고 생각했다. 그가 구상한 삼균주의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단계라고 파악했다. 이에 그는 사회당이라는 진보정당을 결성하여 야당으로 활동하는 노선을 택했다.
    의회정치를 통해 자신이 구상한 삼균주의에 의한 통일정부 수립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노선은 대한민국 정부를 단독정부라고 하여 비판했던 임시정부의 지도자 김구와는 다른 선택이었다.

    영어초록

    Korean Govern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1948, succeeded to the legal legitimacy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dependence, democracy, equality and international peace, which
    were elucidated in the preface of the first Korean constitution, were made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basic idea of the first Korean constitution was
    based on the Platform for Establishment of Korean Nation. Cho So-Ang wrote the platform which
    was adopted by the state minister committee of the KPG in 1941.
    In 1917, Cho So-Ang wrote and declared the Declaration for Korean’s Union, in which he
    suggested that the sovereignty of Korea was delivered from the emperor to the people and Korean
    people should make a new democratic nation. In 1919, he wrote the Declaration for Korean
    Independence, in which he stressed the value of independence, democracy and equality. After March
    First Movemen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Shanghai. He took part in the
    KPG and wrote the Korean Provisional Constitution in 1919. And he wrote the Korean Platform for
    Establishment of Korean Nation in 1941. The basic idea of KPG for the Korean independence and
    nation-building was the Idea of Three Equalities, which he systematized.
    After Liberation in 1945, Cho So-Ang tried to make the KPG as the leading group for the new
    nation building. He denied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did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And
    he organized the political party, whose name was National Assembly. He wanted that KPG should
    have the sovereign authority against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1947 UN determined that
    Korean Government w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general election. Cho So-Ang accepted gladly
    the determination of general election because he thought that it was based on democracy and it was
    possible to get the Korean instant independence. But the general election was possile in South Korea
    because of the denial of North Korea and USSR. He did not participate in the general election but take
    part in the Korean Unification Movement, which was led by Kim Koo and Kim Kyu-Sik. In 1948, the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Rhee Syung-Man was elected as a first President. Cho So-
    Ang accepted the Korean Government as the legal government which succeeded to the legitimacy of
    the KGP. He thought that the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by Korean people through
    democratic election and the Korean constitution was based on the Korean Platform for Establishment
    of Korean Nation which he wrote in 1941. He made the Social Pary, which was the nongovernment
    party. His political line was different from Rhee Syung-Man and Kim Koo, who was the two leaders
    of KGP in Japanese colonial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