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구동물 등장 시조와 “靑개고리 腹疾하여 주근 날 밤~”의 해석 (Interpretation of Shijo poems which featured handicapped animals and “The night a green frog ached its stomach to death”)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9.01
18P 미리보기
불구동물 등장 시조와 “靑개고리 腹疾하여 주근 날 밤~”의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30호 / 301 ~ 318페이지
    · 저자명 : 이영태

    초록

    이 글은 불구동물이 등장하는 시조의 특성에 기대 “靑개고리 腹疾여 주근 날
    밤~”을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조에 동물이 등장하는 경우는 흔하지만 이것
    이 불구상태에 있는 것은 드물다. 흔히 이런 시조에 대해 당대의 부조리한 상황과
    결부해 읽어내려는 경향이 있지만 사설시조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에 기댔을 때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사설시조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불구동물이 등장하는 시
    조는 ‘진지한 발화’가 아니라 ‘허튼소리’가 진술되는 단계에서 가창된다. 신체가
    멀쩡한 자들이 흉내낼 수 있는 기형은 어떤 것이건 희극적이기에 자신의 불구를
    망각한 개구리, 두꺼비, 개미의 행동은 가창공간에 있던 참석자들에게 희극적으로
    기능한다. “靑개고리 腹疾여 주근 날 밤”(#2834)에서 청개구리의 죽음은 단순
    한 죽음이 아니라 #3160에 등장한 새끼 개구리이거나 혹은 공간의 분위기를 이미
    저해했던 참가자가 가창공간에 참석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결국 가창공간의
    여러 정황을 고려했을 경우, 불구동물 등장 시조는 교훈적이거나 비판적 시각과
    관련된 게 아니라 공간의 분위기를 유지․고조시켰던 노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sentence “The night a
    green frog ached its stomach to death~”,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certain Shijo poems which featured handicapped animals. Many Shijo poems
    feature animals, but they rarely feature them in a handicapped state. In those
    cases, readers usually try to identify the intentions of the author with the
    unjust and wrongful situations of the time the poem was written, but yet
    another interpretation could be presented, considering the premise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Saseol Shijo poems. Only among Saseol Shijo poems
    handicapped animals can be found in a Shijo text, and they are referred to
    and sung not in the stage of 'serious outbursts' being fired but during the
    stage of 'hollow jokes' being made. Any handicapped condition that an
    unhandicapped one could imitate could be imitated for humor, so the actions
    of a frog, a toad or an ant which forgot their own inabilities can be considered
    very comic and farcical in the eyes of the readers embracing the contents of
    the poem. In “The night a green frog ached its stomach to death~”(#2834),
    the death of the green frog is no ordinary death. This particular frog could
    be referring to the baby frog which appeared in #3160, or the entire sentence
    could be referring to the fact that a particular figure which had already
    disrupted the atmosphere of the world inside the poem is no longer present
    in that world. Considering all these conditions inside the poem's own world,
    Shijo poems which featured handicapped animals were not meant to be
    delivering any kind of educational or critical messages, but they were rather
    either maintaining or heightening the mood inside the poem's own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