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지호 관련 미술비평과 연구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 Criticism and History of Research Related to Oh Chi-h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오지호 관련 미술비평과 연구사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61호 / 287 ~ 319페이지
    · 저자명 : 홍윤리

    초록

    오지호의 미술비평과 연구사 성과를 시기별로 살펴보면 오지호에 관한 미술비평은 시대에 따라 문학가, 화가, 미술비평가, 미술사연구가 등으로 이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오지호의 활동이 활발했던 1930년대와 1970년대 오지호에 대한 미술비평이 다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오지호에 대한 조명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반면,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에 대한 오지호에 대한 관심은 미비했다. 오지호에 대한 연구는 다른 근현대미술가들에 비해 미진한 편이었다. 이런 배경에 대한 이유로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먼저, 1948년 그는 줄곧 광주에서 거주하며 광주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서울 미술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 미술사에서 지방에서 활동했던 오지호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소외될 수밖에 없었다. 오지호는 한국전쟁 때 남한 유격대 빨치산 활동을 했고, ‘민족자주통일협의회’의 임원이었다는 이유로 감옥생활의 고초를 겪었다. 이러한 행적 때문에 그는 감옥생활 이후에도 ‘좌익’으로 낙인 되어 군사독재 시절 감시받고 통제받는 등 밖으로 드러나지 않고 침묵할 수밖에 없는 개인적인 상황이 있었다. 한편, 그의 회화 말년기인 1960∼70년대 한국 미술은 추상미술이 주류였기 때문에 구상주의 미술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오지호는 기성세대화가로 치부될 수밖에 없었던 미술사적 상황이 있었다. 더불어, 1982년 임종이후 1980∼90년대 한국 미술은 민중미술이 부상되면서 오지호의 회화에 대한 관심이 멀어졌으리라 본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발표한 오지호의 「순수회화론」이 강조되어 그를 프롤레타리아 미술과 대비된 순수회화론자로 인식되고 비판되는 경향이 컸다.
    오지호에 관한 연구는 인상주의 회화 경향과 민족미술 회화의 비판적 경향, 실천적 지식인으로서 생애연구, 오지호의 회화이론 연구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오지호의 회화를 인상주의와 연결하는 면은 해방이전 회화를 토대로 한 평가였으나, 추후의 회화에도 비판적 검토 없이 이를 적용하여 따르는 경향이 다수 있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민족’이 화두였던 시기 오지호는 민족주의자로 평가받았으나 민족미술의 경향에서는 그의 회화가 비판을 받았다. 1990년대 이후에도 오지호의 회화론과 생애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보다 다양한 시각과 관점의 오지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오지호는 ‘한국 인상주의 대표적 화가’ 또는 ‘민족주의 회가’라고 불리며 그의 회화가 이와 연관되어 해석되는 경향이 컸다. 물론 오지호가 인상주의에 경도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오지호가 이해하고 받아들인 인상주의는 시대적 양식적 차이와 한계가 있다. 더불어 오지호는 일제강점기, 해방, 한국전쟁, 군사독재 정권 등 격동기의 역사를 살았던 화가였던 만큼 그의 작품은 일관성을 갖기 어려웠던 시기였다. 따라서 오지호의 회화이론과 회화의 시대별 양식적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며 그의 화풍의 변모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Critical essays on Oh Chi-ho’s work written by literary persons, painters, art critics and art history researchers can be divided into periods by examining achievements in art criticism and the history of research pertaining to Oh Chi-ho’s art. We find a lot critical essays on his art and life written both in the 1930s and 1970s when Oh worked actively. Thus, these periods can be defined as eras shedding light on his art in Korean art history.

    However, his art drew less attention in the 1940s, 1950s and 1960s. And, his art was less researched than that of other artists.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is. First of all, he only lived and worked in Gwangju during these periods. As Korean art history highlighted art in Seoul at that time, his art inevitably attracted less attention. Also, Oh suffered hardships in a prison because of his activity as a partisan and a member of the Council for National Autonomy and Unif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Moreover, his activity was constantly watched and controlled during the military regime after his release from prison because he had been branded a leftist. Since abstract art was the mainstream of Korean art in his latter years between the 1960s and the 1970s, Oh who insisted on figurative art was regarded as an established artist. His painting also fell out of the limelight because minjung misul or people’s art rose up between the 1980s and the 1990s after his death in 1982. He was particularly credited with advocating pure painting in contrast with proletariat art when his On Pure Painting was made public during the period when Japanese colonial rule was the focus of attention.

    Research on Oh’s ar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several areas: the tendency of impressionist painting; the critical tendency of minjok misul or national art; research on his life as an activist intellectual; and research on his painting theories. His paintings done befor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were often considered associated with impressionist painting but this assessment was also uncritically applied to his paintings produced after liberation. Oh was seen as a nationalist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1970s and the 1980s when nationalism was on the rise but his painting was criticized by the minjok misul movement.

    Oh’s painting theory and life were also the subject of research after the 1990s, but studies on his art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are required. In particular,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referred him as a leading artist of Korean impressionist painting or a nationalist painter and interpreted his painting in terms of this perspective. Of course, it is true that he was drawn to Impressionism but the impressionistic elements he accepted had stylistic difference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times. It might have been hard for him to achieve consistency because Oh lived turbulent times such as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the Korean War; and the period under a military regime. So, we need to examine alterations in his painting styles while scrutinizing his painting theories and his painting’s features by time and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