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교육 개념어의 용례 검토 - 역사적 사고, 역사해석, 역사인식, 역사의식 - (An Investigation on Used Examples of History Education Terminology - Historical Think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Historical Cogni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0.03
36P 미리보기
역사교육 개념어의 용례 검토 - 역사적 사고, 역사해석, 역사인식, 역사의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 / 113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김한종

    초록

    ‘역사적 사고’, ‘역사인식’, ‘역사해석’, ‘역사의식’은 역사교육 연구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어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철학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고정된 하나의 의미를 가질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역사교육 개념어들을 다양한 의미로 사용한다고 해서 커다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제까지 이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역사교육 이론을 둘러싼 토론이 활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 점도 역사교육 연구가 척박한 현실 탓일 수 있다. 그렇지만 이제 역사교육 연구자가 늘어나고 연구가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역사교육 논문들이 이 용어들을 어떤 개념으로 사용하였는지 검토하였다. 논문 내용의 맥락에서 이들 용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를 토대로, 역사교육에서 이들 용어를 어떤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제안하는데는 미치지 못하였다.
    많은 역사교육 연구에서 이들 용어를 별다른 개념 규정 없이 사용하였다. 어쩌면 그 이유는 구태여 개념을 엄밀히 규정하거나 여러 개념을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이 글에서 개념어의 용례를 검토한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논문 안에서 사용된 용어 자체의 개념보다는 그 개념어와 관련된 견해들을 논하는 방향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이들 용어가 학술어 이전에 일상용어로, 구태여 사용할 때 일정한 개념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각자의 연구에서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일정한 범위의 개념 없이 용어들을 사용할 때, 글을 매개로 하는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용어가 학술어로 정착되기 어렵다. 이는 직접적으로 역사교육 연구의 폭을 넓히고, 수준을 높이는데 커다란 지장을 줄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들 용어의 개념을 하나로 정의할 수는 없겠지만, 기본적 의미가 무엇인지 역사교육 연구자들이 의견을 모으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래야 역사교육 연구의 성과와 문제점을 둘러싼 토론과 비판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terminologies frequently used in history education articles. The terminolog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historical think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historical cogni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general meanings of these terminologies are searched first, and then practically used examples in articles are analyzed. Twenty articles, which theoretically discuss history education,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First, it is agreed that historical thinking should reflect the historian’s thinking mode. Though some articles tried to classify the elements of historical thinking, other articles criticized this type of study insisting that it reduced historical thinking to general educational thinking. There has been a disagreement between both studies whether the interpretation is an element of historical thinking or not.
    Second, some articles criticized that precedent studies on historical thinking had focused on methods than contents; the result than the process of thinking. But history education should concern about cultivating student’s desirable historical cognition of historical facts as well as carrying out historical thinking process.
    Third, the concept of historical cognition used in articles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view of history. But I think that although the view of history is the general perspective of thinking history and historical facts, historical cognition is formalized from combining the knowledge of historical facts and the view of history.
    Fourth, ‘historical cognition’ was frequently confused with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Most history education articles argued that the historian's subjective view would be involved in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We understand historical facts and have the historical cognition on the basis of interpreting historical materials. Accordingly, historical interpretation is the foundation of the historical cognition.
    Fifth, the concep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been used as both historical consciousness representing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historical problematic or critical consciousness, and confused with historical thinking. It was because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Japan used the components of historical thinking as the concep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 suggest we should analyze the component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suggested in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lassify them into historical thinking and historical problematic or critical consciousness.
    Though the concepts of the terminolog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not be unified or simplified, we should discuss the basic meaning of those terminologies so that the debate and critical comment on history education research might become more a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