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외선거의 정치적, 입법적 과제 (The Political and Legal Problems of Overseas Voting Syst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35P 미리보기
재외선거의 정치적, 입법적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4권 / 2호 / 133 ~ 167페이지
    · 저자명 : 박상철

    초록

    재외국민에게 정치적 권리(투표권)를 부여하는 재외선거제도의 도입을 계기로 국민주권의 실천형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담론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재외선거는 국외에 거주하는 유권자에게 주어지는 정치참여의 통로이자 국민주권의 확장이다. 선거에서 신분의 차별․재력의 차별․인종의 차별․성의 차별이 해소되면서 민주시민의 정치참여가 활발해지고 대의민주주의가 발전하였듯이, 이제 거주의 차별이 해소됨에 따라 국외에 거주하는 유권자의 정치참여가 활발해지고 한국의 대의민주주의도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국내 선거에 영향력이 예상되는 재외선거가 국외에서 치러지는 만큼 준비나 절차상에서 참여를 제약하는 요인이 있고 공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참여의 규모와 공정성 문제가 전체 선거의 유효, 무효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나아가 선거결과에서 불이익을 받는 정당이 제도 자체의 폐지까지 주장하는 상황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재외선거제도에서 참여와 공정성 문제는 기존의 국민주권을 수정없이 재외국민에게 단순한 확대적용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대한민국 선거사를 일별하면 능동적인 참여와 공정성이 확보되기까지는 입법․행정․사법기관의 국가작용도 있었지만 이보다도 ‘깨어있는 시민들’의 노력과 희생이 보다 본질적이었다.
    재외선거 현장의 주체인 재외국민이 ‘주어진’ 재외선거제도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거나 심지어 부정적으로 변질될 때, 재외선거는 재외국민의 권익신장 창구로서, 대한민국 주권의 영역확대에 따른 국력증진 수단으로서의 취지 퇴색은 물론 대한민국 정치의 새로운 골치덩어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그러나 재외선거에 대한 재외유권자의 의식과 태도를 분석한 결과 재외국민에게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민주시민으로서 정치교육을 충분히 받게 한다면 재외선거를 계기로 동포사회의 시민사회로의 전환과 자발적인 공명선거운동의 자정능력을 기대하게 하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조직 중 선거연수원의 업무와 지위를 격상시켜서 국민의 정치교육 관장기관으로 만들되 학계 및 전문가와 각종 시민단체와 연대하여 가치중립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명실공히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과 재외국민에게 제공될 민주시민교육의 주체가 될 때 비로소 재외국민의 자율적 민주시민교육시스템도 상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overseas voting system should be maintained and developed further as a chann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Koreans in other countr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lectoral democracy. To this end, it is imperative that methods of assuring sufficient voter participation and fair management of elections be put into place and studies be conducted to find ways to maintain a positive and stable role of the overseas election system. While the issues of ensuring adequate participation and fairness cannot be addressed by a simplistic application of popular sovereignty doctrine, there is certainly an implication here of urgent legislative tasks which must be addressed.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a survey and an analysis of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s of Korean citizens living abroad on the topic of election participation and fair election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al theory of election that election systems affect voting behavior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end the rate of participation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basic attitude and consciousness of the voters regarding elections. To precisely understand these attitud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during our survey, which are related to the voters’ sense of obligation to vote; belief in the efficacy of overseas voting; consciousness of one’s sovereignty; intent to participate in the vote; reason for abstention where applicable and criteria of choosing a candidate:Fair election management is also largely dependent on the attitudes of voters about unfair elections, along with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Korean overseas voters regarding fair elections, interviewers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associated with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election wrongdoi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election process and activities, intended reactions when experiencing illegal campaign practices and awareness of the types of illegal campaign practices:To analyze the pending issues in the overseas election system, this study examined two areas, highlighting overseas Korean citizens’ preferences of voting methods and the preferred areas of suffrage extension.
    Numerous initiatives are called for: first, a legislative revision bill already proposed at the National Assembly that would allow voting by mail and increase the number of voting places in foreign countries; second, legislative measures which were omitted in earlier legislative revisions made in response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2007 ruling, to allow the application of overseas election to referendums and absentee voting for sailors. Additionally, institutional measur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s quickly as possible include the introduction of public management of election campaigns in overseas elections, the introduction of a semipermanent list of overseas voters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for overseas elections.
    Mid- to long-term legislative tasks would include granting voting rights to holders of dual nationalities, allocating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overseas Korean communities (introduction of special overseas constituencies, parliamentarian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s representing overseas special districts) as a means to grant political representation rights to overseas Korean communities.
    Ultimately, it is believed that overseas elections will not only grant suffrage to Korean citizens residing overseas, but also function as a channel of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It is also hoped that such learning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s oversea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ir local societies and gain recognition so that, as is the case of the people of Israel, the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security and economic prosperity of their home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