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민속학회 창립의 산파 송석하와 한국 민속학의 길 (A midwife ‘Song Seok-Ha’ of the Founding of Joseon Folklore Society and Direction of Korean Folklore Study)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5
56P 미리보기
조선민속학회 창립의 산파 송석하와 한국 민속학의 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57권 / 7 ~ 62페이지
    · 저자명 : 임재해

    초록

    식민치하에서 창립된 조선민속학회는 민족 내부의 자주적 학문운동과 국제적 식민체제 극복운동의 두 갈래 상황 속에서 인식되어야 그 의미가 제대로 포착된다. 조선민속학회는 국내 학문운동을 중심으로 보면, 모국어 회복 운동을 한 ‘조선어학회’ 활동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진 민족문화 운동이고, 국제적 민족운동과 관련하여 보면, 식민지배를 받은 제3세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민속학회를 결성한 선구적 학문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외 민족운동의 맥락 속에서 주목해야 조선민속학회의 민족사적 의미와 세계사적 민족운동 의의가 제대로 드러난다.
    조선민속학회의 성립과 활동 과정을 이해하려면 학회 창립의 산파 역할을 한 송석하의 활동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송석하는 학회를 발의하고 주도하는 가운데 사재를 털어 학회지 『조선민속』을 간행했다. 학회지의 체제와 연간 4회 간행하려는 의욕은 요즘 학회와 견주어 보아도 탁월하다. 그럼에도 송석하는 일본학자들과 어울렸다는 것이 빌미가 되어 식민주의 공범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식민주의 시각에 따라, 학회지 『조선민속』 3호 발행인이 송석하 대신 아끼바로 바뀐 데 관한 해석이 ‘일본화’와 ‘일제화’로 엇갈린다.
    일본학계의 ‘일본화’ 주장에 대하여 전경수가 ‘일제화’로 맞서자, 남근우는 일제화를 비판하며 오히려 일본화에 동조했다. 그 근거는 조선어 사용 금지 시기와, 조선민속학회가 유명무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어 사용 전면 금지 이전부터 일제화가 시작되었다는 사실과, 발행인 교체가 사승관계에 있는 일본인 두 사람에게는 매우 유의미하게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일본화를 주장하는 식민주의 옹호 논리를 재비판했다. 그리고 송석하의 학회활동 중단 원인에 대한 전경수의 질병원인론과 인류학 선호론을 극복하며, 식민체제에 따른 민속탄압론에 이어서 인류학 통섭론을 제기했다.
    문제는 한국민속학의 길이다. ‘송석하가 우리시대의 민속학자였다면 어떤 수준의 활동을 했을까?’ 반문할 필요가 있다. 일제치하의 민속학회와 송석하의 활동을 제대로 본받으려면 민속학자로서 민속지 작업과 학술저서 작업을 병행하고 인접학문을 통섭함으로써 자기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자면 송석하의 학회창립, 사재출연, 학회지 발행, 민속조사, 논저집필, 인류학 통섭, 박물관 설립 등 그의 활동을 본받아 실천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Joseon Folklore Society which was founded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can have its meaning clarified only if it is recognized in the two paths of situations, the independent study academic movement within the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overcome colonialism. Joseon Folklore Society is an ethnic culture move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contexts like ‘Joseon Language Society based on mother language restoration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aforementioned domestic academic movement and pioneer academic movement constitutes the only folklore society among the 3rd world country who received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pioneer academic movement. As such, the ethnic history meaning and world ethnic movement meaning of Joseon Folklore Society may be identified properly only if domestic and overseas ethnic movements are taken note of.
    For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y process of Joseon Folklore Society,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who played the role as the midwif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cannot but be paid attention. Seok-Ha Song published 『Joseon Folklore』 the academic journal of the society by paying private money while initiating and leading the society. The system of the society’s journal and his passion to publish as many as 4 times a year are outstanding even in comparison with these day society. Nevertheless, he was also regarded as an accomplice of colonialism due to the excuse that he hung around with Japanese scholars. In such colonialism related view, the interpretation that the publisher of the 3rd edition of 『Joseon Folklore』 the society’s academic journal was divided into ‘Japa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zation’.
    As Gyeong-Su Jeon hits back as ‘Japanese imperialization’ about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claim as ‘Japanization’, Geun-Woo Nam rather criticized Japanese imperialization and synthesized with ‘Japanization’, and his ground to that was the coincidence of the period of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titularity of Joseon Folklore Society. However, he criticized again the logic of advocating colonialism which claims Japanization on the ground that Japanese imperialization began even before prohibition of use of Joseon language and replacement of publisher was very significantly utilized to the two Japanese persons who were teacher and pupil. And he proposed the theory of consilience of anthropology after ethnic suppression theory by colonial system by overcoming the Gyeong-Su Jeon’s preference of disease causation theory and preference theory for the Seok-Ha Song’s cause of pause of the society activities.
    The problem is the path of Korean folklore study. If Seok-Ha Song was a folklore scholar of these days, what level of activities would he do? It is worth questioning. Following the Folklore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activities of Seok-Ha Song properly would be to carry out the work of folklore journal and the work of academic writing simultaneously as folklore scholar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one’s own study by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integrated manner.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take his activities as example and practice them by establishing the society of Seok-Ha Song, investing private fund, issuing academic journal, surveying folklore, writing papers, learning inter-disciplinary study of anthropology and establishing museum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