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레츠키(H. M. Górecki) 아 카펠라(a cappella) 작품 분석 연구: 새로운 단순성(Neue Einfachheit)과 미니멀리즘(Minimalism) 음악어법의 비교 관점으로1)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7.05
36P 미리보기
구레츠키(H. M. Górecki) 아 카펠라(a cappella) 작품 분석 연구: 새로운 단순성(Neue Einfachheit)과 미니멀리즘(Minimalism) 음악어법의 비교 관점으로1)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음악이론포럼 / 24권 / 1호
    · 저자명 : 신인선

    초록

    본 논문은 구레츠키(Henlyk Mikołaj Górecki, 1933-2010)라는 한 작곡가의 작품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민족적-종교적 영향’, 독일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단순성’(Neue Einfachheit) 또는 미국 에서 시작된 ‘미니멀음악’(minimal music)과 같이 상이한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그 이유를 작 품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구레츠키 창작경향의 변화에 근거하여 분석대상 작품의 시간적 범위와 장르 범위는 그의 1972 년 이후 아 카펠라(a cappella) 합창음악으로 한다. 60년대 말 관현악 작품 창작에서 드러나기 시 작한 ‘명료함’과 ‘단순함’으로 대변되는 그의 독자적인 창작세계의 어떤 내용들이 새로운 단순성 또 는 미니멀음악으로 규정될 수 있는지를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접근한다. 아 카펠라 합창음악 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창작경향 변화를 간단하게 언급하여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작품 선정의 타당성뿐 아니라, 1976년 작곡된 《교향곡 3번》에 교회음악 그리고 민속노래를 인용하면서 작곡가 가 확고히 한 그의 독자적인 음악어법을 확인한다. 작품 연구는 라틴어 텍스트로 작곡된 《그들은 떠났고 울었다》(Euntenes ibant et flebant op.32, 1972)와 폴란드 민속음악에서 가사와 선율에 기초하여 작곡된 《넓은 강》(Zeroka Woda op.39, 1979) 분석을 중심에 둔다. 이 두 작품 분석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음악적 특징들을 라틴 어를 텍스트로 한 《아멘》(Amen op.35, 1975), 《불쌍히 여기소서》(Miserere op.44, 1981), 《나는 당신의 소유》(Totus Tuus op.60, 1987), 그리고 폴란드 민속음악에 기초한 《나의 비스 와 강, 잿빛, 비스와 강》(My Vistula, grey Vistula op.46, 1981), 《세 개의 자장가》(Three Lullabies op.49, 1984, rev. 1991)에 적용하여 구레츠키 고유 음악어법을 확인한다. 결론을 대신하여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구레츠키의 독자적인 음악 어법이 새로운 단순성 또는 미니멀음악 작곡기법 그리고 음악적 사고와 어떤 점이 유사하고 어떤 점이 상이한지를 정리한다. 나아가 미니멀음악 작곡가도 아니고 새로운 단순성을 대변하는 작곡가 도 아닌 구레츠키의 음악적 특성을 그가 활동한 공간적·시간적 환경과 연결하여 ‘새로운’ 민족주의 음악으로 볼 수 있음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explanations of works by Henlyk Mikołaj Górecki, a composer from Poland, generally employ a mixture of various concepts such as ‘ethnic-religious influence’, ‘Neue Einfachheit’ from Germany and ‘minimal music’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analyses of his works, this paper accounts for the reason why. Because Górecki went through changes in his writing tendency, the range of time period and genre for this study is limited to a cappella choir music since 1972. Due to his orchestral works of late 60s, ‘perspicuity’ and ‘simplicity’ became representative of Górecki’s inherent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ollowing approaches, this paper defines what elements could be identified as ‘Neue Einfachheit’ or ‘minimal music’. Before going into analyses of a cappella choir works, the changes found in his writing tendency will be mentioned and this will confirm the validity for the selection of works to be studied in this paper. His innate musical language, established in Symphony No.3 (1976) by employing church music and folk songs, is confirmed. The research is centered on analyses of Euntenes ibant et flebant op.32 (1972), written in Latin, and Zeroka Woda op.39 (1979), based on the lyrics and melodies of Polish folk music. Common mus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both pieces will be applied to the study of works using Latin text such as Amen op.35 (1975), Miserere op.44 (1981) and Totus Tuus op.60 (1987), and others based on Polish folk music like My Vistuła, grey Vistuła op.46 (1981) and Three Lullabies op.49 (1984, rev. 1991) in order to confirm the unique musical language of Górecki. Based on analyses of works, the last part of this paper which stands in for conclusion sums up how Górecki's peculiar musical language differs from or analogous with Neue Einfachheit, minimalism technique, and musical thoughts of the time.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Górecki, who is neither a minimalist composer nor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Neue Einfachheit, maybe viewed as that of ‘new’ nationalistic music in connection with spatial and temporal environment where he was actively involv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이론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