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의 전통방위(方位)개념과 불교동점사관(佛敎東漸史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동양의 전통방위(方位)개념과 불교동점사관(佛敎東漸史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콘텐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예술연구 / 11권
    · 저자명 : 정영식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본론
    1. 동양의 전통방위 개념
    2. 불교의 방위개념
    3. 『유석질의론 (儒釋質疑論)』에 나타난 음양오행설
    4. 불교동점사관과 한국불교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동양에서는 예부터 東西南北中의 五方관념이 있었다. 오방관념은 漢 代(BC 3세기~AD3세기)이후 陰陽五行說의 영향을 받아, 각 방향에는 의미하는 바가 있게 되었다. 오방 중에서도 동쪽은 계절로는 봄, 색깔로는 청색을 가리켰는데, 이는 생성·생명이라는 ‘吉祥한’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관념은 우리나라불교에 영향을 주어서 불교문헌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儒釋質疑論』에서는 ‘석가모니가 4월 8일에 탄생한 것은 봄에 나무가 생장하는 것과 같으며, 이는 『周易』 의 원리에 부합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佛敎東漸史觀이란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점점 동쪽으로 전해진다’고 하는 학설로서, 실제로 대승불교는 인도→중국→한국→일본으로 전래되었으므로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불교동점사관은 후대에 와서 ‘우리나라야말로 불국토이고 동아시아불교의 중심지이다’고 하는 自國중심의 불교사관을 낳았다. 그 중의 하나가 羅末麗初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했던 佛法東流說이다. 불법동류설이란 ‘중국에서 불교가 쇠퇴하는 대신, 우리나라가 그것을 이어 동아시아불교의 중심지가 된다’고 하는 주장이다. 그런데 이 불법동류설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며, 중국에는 이러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나말여초에 우리나라에서 불법동류설이 유행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을 것이다. 첫째는 會昌廢佛(841~846)로 인해 중국불교가 쇠퇴한 것과, 둘째는 우리나라가 스스로를 海東· 靑丘라고 해서 東國임을 자처했기 때문이다. 예부터 동쪽은 길상한 이미지를 가졌기 때문에, ‘불교는 동쪽으로 전해진다’고 하는 불교동점사관이 불법동류설을 부추겼을 것 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e Orient, there was the notion of five directions--east, west, south, north, and middle--from long time ago. Each direction came to have its own meaning, affected by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that developed during the Han Dynasty(BC 3,00 to AD 3,00). The east signified spring among the four seasons and blue color, which was interpreted as a lucky sign of creation and life. Such notion influenced Korean Buddhism to appear in Buddhist literature. For example, according to Yuseokjiluiron(儒釋質疑論) written during the Joseon Era, the birth of Buddha on April 8 was like the growth of trees during spring, which corresponded with the principles of Juyeok(周易).
    In the meantime, The viewpoint of "Eastward Transmission of Buddhism" is a theory that Buddhism originated from India and spread eastward. It is not false because in actuality Mahayana Buddhism spread from India to China, from China to Korea, and then from Korea to Japan. However, later in time The viewpoint of "Eastward Transmission of Buddhism" gave birth to Korea-centered Buddhist view of history that Korea is a Buddhist nation and the center of East Asian Buddhism. A case in point is Bulgyodongryuseol(佛 法東流說) that was in vogue in Korea during late Silla and early Corea. It is a theory that Buddhism declined in China and Korea inherited it and became the center of East Asian Buddhism. Nonetheless, the theory is not a historical fact and there is no relevant record on it in China.
    Probably, there are two reasons why the theory was in vogue in Korea during late Silla and early Corea. First, Whoichangpyebul(會昌 廢佛, 841~846) led to decline of Chinese Buddhism. Second, Korea considered itself as the Eastern country and called itself Haedong and Cheonggu. From long time ago, the eastern direction had auspicious images and therefore The viewpoint of "Eastward Transmission of Buddhism" that Buddhism spreads to East may have incited Bulbeopdongrhuseo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