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 사례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7.06
8P 미리보기
미국의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 사례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32권 / 3호
    · 저자명 : 이희정

    목차

    Materials and Method
    Results and Discussion
    미국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 배경 및 절차
    미국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 기본체계 및 주요내용
    미국 평가사례 보고서 분석
    전문가 의견 수렴
    Conclusions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초록

    수입식품 안전관리 확보와 효율성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수출국의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현황을 평가하고 이를 자국의 수입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미국을 중 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평가도구와 도구를 활용한 평가사례를 비교조사하고, 관계 전문가의 의 견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 FDA가 개발한 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는 외국의 식품안전 전문성을 이용하여 수입식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으 며, 평가도구는 10개 기준으로 구성되어 외국의 전반적인 식품안전관리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FDA는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뉴질랜드와 캐나다를 대상으 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두나라 모두 미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를 통해 수입 전 위생평가 와 수입식품의 국경검사 빈도관리에 활용함으로써 수입식품 안전관리에 있어 국가예산의 효율적인 배분과 대국민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향후 국가식품안전관리체 계 평가에 대한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국제적인 조화와 전문가·예산의 확보도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평가도구 조사·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으로는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 논의의 국제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식품 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국내 식품안전관리체 계를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식품안전관리 체계 평가결과는 수출입 안전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보이며, 이러한 국제흐름에 따라 향후에는 우리나라 자체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For more efficient and proactive safety control of imported food, new trend in U.S. is emerging, which assesses the food safety control systems of exporting countries using Systems Recognition Assessment Tool and helps ensure safety of imported foods.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mnt tool and country assessment reports in U.S. where an active discussion on this issue is in progress. The expert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U.S. Systems Recognition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by FDA to recognize the potential value in leveraging the expertise of foreign food safety systems and help ensure safety of imported food. The tool is comprised of ten standards and provides an objective framework for determining the robustness of trading partners’ overall food safety systems. Using its own tool, the U.S. FDA conducte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food safety control systems of New Zealand and Canada. According to the U.S.-New Zealand and the U.S.-Canada assessment report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ystems was similar between the countries. In summarizing the opinions of experts, such a trend in National Food Safety Control System Assessment may be utilized in the sanitary assessment and the control of imported food border inspection frequency before importing food. It would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distribution of national budget and increased public trust. Additionally,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s well as securing of qualified experts and sufficient budget appear to be crucial to further increase the utility of National Food Safety Control Systems Assessment. In conclusion, firstly,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competent authority of South Korea to proactively respond to international trend in National Food Safety Control System Assessment by identifying the details of its background, assessment purpose, core assessment elements, and assessment procedur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Korea’s food safety control system by reviewing it with U.S. Systems Recognition Assessment Tool. Thirdly, by adapting the assessment results from imported countries’ food safety control systems to the imported food inspection intensity, the resources previously used in inspecting the imported food from accredited countries can be redistributed to inspecting the imported food from unaccredited countries, and it would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imported food safety control. Fourthly, the competent authority of South Korea should also consider developing its own assessment tool designed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ts food safety control system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