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표준필수특허 남용에 대한 경쟁법적 규율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7.09
25P 미리보기
표준필수특허 남용에 대한 경쟁법적 규율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 수록지 정보 : LAW & TECHNOLOGY / 13권 / 5호
    · 저자명 : 강민정

    목차

    요약
    I. 서론
    II. 표준설정의 편익 및 경쟁법적 문제점
    III. 표준특허 남용의 법적 구제수단
    IV. 공정거래법상 표준필수특허 남용에대한 규율
    V. 결론
    ABSTRACT

    초록

    정보통신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국내⋅외의 표 준화기구를 통하여 설정된 기술표준이 널리 활용 된다. 표준화에는 다양한 친경쟁적 효과가 있으나, 표준 설정 과정에 개입된 경쟁제한적 행위로 인하여 공정한 시장 경쟁이 저해될 우려도 있다. 표준화기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참여 사업자들에게 지적재산권 공개 의무나 FRAND 확약 의무를 부여하는 등 지적재산권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체로 그 내용이 명확하지 않고 위반시에도 실효성 있는 분쟁해결수단이 없어 문제가 된다.
    최근 표준화 과정을 왜곡하여 획득한 표준필수 특허 보유자의 특허권 남용행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표준필수특허 보유자의 특허매복 행위나 특허위협 등 부당한 특허권 행사에 대하여는 계약법이나 특허법, 더 나아가 위와 같은 행위가 경쟁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을 경우 공정거래법에 따른 규율이 가능하고, 이들은 중복될 수 있으며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계약법 및 특허법은 그 규율 목적과 요건, 제한적 효과, 법원의 신중한 태도 등에 비추어 표준필수특허의 남용 행위에 대한 구제수단으로서 일정한 한계가 있는바, 공정거래법 집행 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표준필수특허 남용행위에 대한 규제 경험이 많지 않아 공정거래법의 구체적인 적용법조나 적용범 위 등에 논란이 있고, 공정거래위원회가 부당한 지적재산권 행사를 규율하기 위하여 만든 심사지침 또한 공정거래법의 개별 규정과의 관계가 모호 할 뿐만 아니라 규제범위가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는 비판이 있다. 앞으로 공정거래법과 심사지침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하고 당사자들의 예견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high-tech industries inclu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ies, Technical standards adopted by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SSOs) are commonly used all over the world. Standard-Setting Enhances Competition, but it also presents Opportunities for Anticompetitive Conducts which potentially hinder fair competition in the relevant markets. SSOs hav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olicies (IPR policies) containing disclosure rules of the patent information and licensing rules which requires FRAND commitments to their members of SSOs to prevent Anticompetitive harms, but They usually aren’t clear in the contents and have no effective remedies resolving disputes.
    Nowadays antitrust enforcement efforts are required to the unfair exercise of the Standard essential patents (SEPs) which was obtained by biasing standard-setting process. For the abuse and unfair exercise of the SEPs which is known as Patent Ambush or Patent hold-up, we can apply the remedies under the civil law or patent law, and further if the conduct is likely to have any anticompetitive effect, antitrust enforcement is also available. The remedies can be overlapped to one case, and they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ut there are limits of contract law and patent law in the aspects of regulation goals, requirements and effects, and judicial rulling of the courts. Therefore antitrust enforcement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regulation on the abuse of the SEPs. There aren’t many antitrust enforcement cases in Korea that it can cause confusion which article of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FTA) should be applied or to which extents the regulation should be imposed. And The Review Guidelines on unfair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PR Guidelines) also have problem that the specific types of conducts that listed in IPR guidelines are not matched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conducts regulated by the MRFTA and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enforcement of the law.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s to enhance the clarity and predictability of MRFTA and IPR Guidelines in regulating the abuse and unfair exercise of the SEPs are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LAW & TECHN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