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3.12
29P 미리보기
한국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학회
    · 수록지 정보 : 矯正硏究 / 61권
    · 저자명 : 최응렬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갱생보호사업의 의의 및 역사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Ⅲ.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문제점
    1. 갱생보호사업의 내용 및 연도별 보호실적
    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조직 현황 및 사업실적
    3. 갱생보호제도의 문제점
    Ⅳ. 갱생보호제도의 개선방안
    1. 갱생보호사업의 개선방안
    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개선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재소자 및 출소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정교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복역율이 지속적으로 20% 정도를 유지하고 있어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출소자의 재범 방지와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사절차 중에서도 갱생보호사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갱생보호란 죄를 지은 사람으로서 재범 방지를 위하여 체계적인 사회내처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지도하고 보살피며 도움으로써 건전한 사회복귀를 촉진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사람, 즉 갱생보호를 받을 사람에 대하여 숙식 제공, 여비 지급, 생업도구ㆍ생업조성 금품의 지급 또는 대여,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 자립지원, 선행지도 등 보호활동을 통하여 자립갱생을 돕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갱생보호사업들은 그동안 긍정적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했지만, 최근 몇 년간 재복역율 수치를 살펴볼 때 효과성이 정체되어 있어 갱생보호사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출소자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프로그램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대인관계의 변화를 위해서는 인성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하여야 한다. 둘째, 개방처우 프로그램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갱생보호법」이「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로 통합되면서 법률 체계상 갱생보호는 보호관찰의 하위개념으로 인식되고 있고, 갱생보호사업에 대한 인식 약화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정체성 약화로 이어졌다. 따라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일반 사회복지사업과는 달리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참신한 청년 인재를 적극 채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사업비 안정화를 위해 공단의 중장기 계획을 통한 자체적인 노력과 병행하여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South Korea, reincarceration rate is around 20% despite varoius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incarce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out the cause of reincarceration. In particular, there is increasing importance for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incarcerated in various stages of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to prevent recidivism. According to the current Probation Law, rehabilitation means to facilitate reentry into society through guidance and care for people who is recogniz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deter from recidivism. To be more specific, rehabilitation means to facilitate self-reliance by providing a person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with living quarters, food, travel fees, tools for jobs, job education, job placement, support for self-reliance. These rehabilitation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but examination of recent reincarceration rates indicate there is little improvement in effectiveness, suggesting there is a need for change in rehabilitatio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in current applications of rehabilitation programs, and suggests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in order for social reentry programs for the incarcerated to function, various programs needs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personality programs to improve human relations need to be expanded. Second, open treatment programs need to be expanded. Third, as Rehabilitation Law was integrated into Probation Law, rehabilitation is concentually perceived as a subordinate concept to probation, leading to weakened perception of rehabilitation programs and weakened identity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hus, the identity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has to be operated apart from other general social services institutions. Fourth, Korea Rehabilitation Agency needs to exp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actively recruit young recruits with integrity. Fifth, in order to stabilize funds for Korea Rehabilitation Agency, it needs to spend efforts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along with policy support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矯正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