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유기태양전지관련 학사 졸업논문

The Next Generation Power supply : Organic Solar Cells with Stamping-Transferred PEDOT:PSS as a Hole transfer layer 중앙대학교 학사 졸업논문이고, 교수님께 칭찬을 들은 논문입니다. 한글본, 영어본 모두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2.01.22 최종저작일 2021.06
54P 미리보기
유기태양전지관련 학사 졸업논문
  • 미리보기

    소개

    The Next Generation Power supply :
    Organic Solar Cells with Stamping-Transferred PEDOT:PSS as a Hole transfer layer
    중앙대학교 학사 졸업논문이고, 교수님께 칭찬을 들은 논문입니다.
    한글본, 영어본 모두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험 방법
    1) Materials
    2) Method

    4. 결과 및 고찰
    1) PEDOT:PSS의 contact angle 분석
    2) J-V 특성 및 EQE spectra 분석
    3) PL Intensity 및 Absorbance spectra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너지 소비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원이 대두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원 가운데 태양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와 달리 무한한 에너지원이며, 온실 가스 배출이 없는 무공해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태양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태양 에너지 중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는 광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에 따라 세대별 분류를 할 수 있다. 1세대인 실리콘 태양전지(Sillicon Solar Cell)는 이론적으로 30%미만의 광 변환 효율을 보이고, 최대 59%의 효율을 낼 수 있는 2세대 태양전지인 복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을 지나 현재는 3세대 태양전지인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 태양전지는 우수한 플렉시블 능력, optic-tunable 특성, 단순한 공정, 대면적 소자형태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롤투롤(roll-to-roll) 인쇄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상용화의 가능성이 다른 태양전지보다 높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태양전지 제작 시 대부분 용액을 이용한 spin-coating 법 및 기상 증착 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용액 공정은 조성비 조절이 용이하며 간단한 공정, 짧은 공정시간이라는 장점이 있다.그러나 하부 층으로 유기용매가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stamping-transfer 공정은 탄성체 스탬프를 이용하여 옮기려는 재료를 모든 타겟 기판에 정확하게 전사시킬 수 있다. 이는 높은 수율, 고해상도, 대면적 전사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복잡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체 규모에서도 사용 가능성을 보인다.

    참고자료

    · W.S. Han,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2권 제 5호 2007년 10월
    · 정훈, 국내외 태양광 기술개발 및 시장 동향, ASCT, Volume 25, Number 3 May 2016
    · 양태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공정 기술, 전기전자재료 제29권 제8호(2016년 8월)
    · Andrew Carlson, Transfer Printing Techniques for Materials Assembly and Micro/Nanodevice Fabrication, Adv. Mater. 2012, DOI: 10.1002/adma.201201386
    · Jung Kyu Kim, Enhanced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Polymer BHJ
    · Photovoltaic Devices from Dry Transfer of PEDOT:PSS, ChemSusChem 2014, 7,1957 – 1963
    · Kang Min Kim, Hydrophilic polyurethane acrylate and its physical property for efficient fabrication of organic photovoltaic cells via stamping-transfer, Organic Electronics 31 (2016)
    · 신원석, (2008) 유기박막 태양전지 개발 동향.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9, No. 3, June 2008
    · 신원석, 유기박막 태양전지 개발 동향,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19, No. 3, June 2008
    · 신원석, 유기박막 태양전지 개발 동향,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19, No. 3, June 2008
    · G. Yu, J. Gao, J. C. Hummelene, F. Wudl, and A. J. Heeger, Science, 270, 1789 (1995). [65] 신원석, 유기박막 태양전지 개발 동향,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19, No. 3, June 2008
    · Lattante. S, Electron and Hole Transport Layers: Their Use in Inverted Bulk Heterojunction Polymer Solar Cells, Electronics, 2014, 3, 132-164.
    · 김희주, 이광희, 유기 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태양전지,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4, No. 1, February 2003
    · 문상진, 김희주, 나노박막형 유기 태양전지의 기술 동향,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7, No. 4, August 2006
    · P. Peuman, S. Uchida, and S. R. Forrest, Efficient bulk heterojunction photovoltaic cells using smallmolecular-weight organic thin films Nature, 425,158 (2003).
    · 김정용, 나노기술을 기초로 한 유기태양전지, 고분자과학과 기술, 제15권 5호, 2004년 10월, 619
    · 장지근, 유기 태양전지의 개발 현황과 기술 과제, 한국재료학회지 434, Kor. J. Mater. Res. Vol. 24, No. 8 (2014)
    · Carlson, A., Bowen, A. M., Huang, Y., Nuzzo, R. G., & Rogers, J. A. (2012). Transfer Printing Techniques for Materials Assembly and Micro/Nanodevice Fabrication. Advanced Materials, 24(39), 5284–5318.
    · Minji Yi, W. J. (2019). Enhanced interface of polyurethane acrylate via perfluoropolyether for efficient transfer printing and stable operation of PDOT:PSS in perovskite photovoltaic cells. Applied Surface Science 467–468,168-177.
    · J.W. Hutchinson, Z. Suo, Mixed mode cracking in layered materials, Adv. Appl. Mech. 29 (1991) 63–191.
    · A.N. Gent, S.‐M. Lai, Interfacial bonding, energy dissipation, and adhesion,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32 (1994) 1543–1555
    · J.G. Williams, Energy release rates for the peeling of flexible membranes and the analysis of blister tests, Int. J. Fract. 87 (1997) 265–288
    · X. Feng, M.A. Meitl, A.M. Bowen, Y. Huang, R.G. Nuzzo, J.A. Rogers,Competing fracture in kinetically controlled transfer printing, Langmuir 23 (2007)12555–12560.
    · 강수민, 나노박막 전사 방법 및 계면 파괴 역학, J. Microelectron. Packag. Soc.Vol. 27, No. 3 (2020)
    · Jong Hwa Lee, Vacuum-process-based dry transfer of active layer with solvent additive for efficient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J. Mater. Chem. C,2017, 5, 1106
    · Woong Sik Jang, Nanopatterned Bulk-Heterojunction Photovoltaic Cells Using Polyurethane Acrylate (PUA) Film Replica of Colloidal Crystal Arrays via stamping-transfer Process, Macromolecular Research, Vol. 24, No. 6, pp 483-487(2016)
    · H. C. Ko, M. P. Stoykovich, A Hemispherical Electronic Eye Camera Based on Compressible Silicon Optoelectronics”, Nature, 454, 748 (2008).
    · S. Kang, J. B. Pyo, and T. S. Kim, “Layer-by-Layer Assembly
    · of Free-Standing Nanofilms by Controlled Ro[82] 강수민, 나노박막 전사 방법 및 계면 파괴 역학, J. Microelectron. Packag. Soc. Vol. 27, No. 3 (2020)lling”, Langmuir, 34(20), 5831 (2018).
    · 강수민, 나노박막 전사 방법 및 계면 파괴 역학, J. Microelectron. Packag. Soc. Vol. 27, No. 3 (2020)
    · Woong Sik Jang, Long-Term Stable Transferred Organic Photoactive Layer-Based Photodiode with Controlled Wetting through Interface Stabilization,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8, 10, 38603−38609
    · Jung Kyu Kim, Enhanced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Polymer BHJ
    · Photovoltaic Devices from Dry Transfer of PEDOT:PSS, ChemSusChem 2014, 7,1957 – 1963
    · C. B. Honsberg, S. G. Bowden, “Photovoltaics Education Website”, 2019,
    · www.pveducation.org.C.B.Honsberg, S.G.Bowden, (옯긴이: 윤경훈), PV CDROM 태양광개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rizona State University, 2012, ISBN 978-89-91248-39-7
    · M. A. Green, “Solar cell fill factors: General graph and empirical
    · expressions”, Solid-State Electronics, vol. 24, pp. 788 - 789, 1981.
    · Rivnay. J, Inal. S, Collins. B, “Structural control of mixed ionic and electronic transport in conducting polymers”, Nat Commun, vol 7, 11287 (2016).
    · 양 종 철, 김 세 민, 전기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생체 전극과 센서의 응용,KICNews, Volume 18, No. 6, 2015
    · Laure V. Kayser, Darren J. Lipomi, Stretchable Conductive Polymers and Composites Based on PEDOT and PEDOT:PSS, Adv. Mater. 2018, 1806133
    · Rivnay. J, Inal. S, Collins. B, “Structural control of mixed ionic and electronic transport in conducting polymers”, Nat Commun, vol 7, 11287 (2016).
    · Hui Shi , Congcong Liu, Effective Approaches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EDOT:PSS: A Review, Adv. Electron. Mater. 2015, 1, 1500017
    · Hui Shi , Congcong Liu, Effective Approaches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EDOT:PSS: A Review, Adv. Electron. Mater. 2015, 1, 1500017
    · J. Y. Kim , J. H. Jung , D. E. Lee , J. Joo , Synth. Met. 2002 , 126 , 311 .
    · C. Badre , L. Marquant , A. M. Alsayed , L. A. Hough , Adv. Funct. Mater. 2012 , 22 , 2723
    · B. Fan , X. Mei , J. Ouyang , Macromolecules 2008 , 41 , 5971 .
    · Qun Wan, Xia Guo, Zaiyu Wang, 10.8% Efficiency Polymer Solar Cells Based on PTB7‐Th and PC71BM via Binary Solvent Additives Treatment, Volume26, Issue 36, September 26, 2016, Pages 6635-6640.
    · Lin Song, Weijia Wang, Composition–Morphology Correlation in
    · PTB7-Th/PC71BM Blend Films for Organic Solar Cell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8.
    · 이정구, 강동원, 유기 태양전지의 기술현황 및 시장동향, 정보분석보고서, 한국 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7.
    · 문상진, 김희주, 나노박막형 유기 태양전지의 기술 동향,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7, No. 4, August 2006
    · Ye Huang, Edward J. Kramer, 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Morphology and Performance Relationships, Chem. Rev. 2014, 114, 14, 7006–7043
    · Jin Young Kim, New Architecture for High-Efficiency Polymer Photovoltaic Cells Using Solution-Based Titanium Oxide as an Optical Spacer, Adv. Mater. 2006, 18, 572–576
    · A Hayakawa, O Yoshikawa, High performance polythiophene/fullerene bulk-heterojunction solar cell with a TiOx hole blocking layer, Appl. Phys. Lett.90, 163517 (2007);
    · Jin Young Kim, New Architecture for High-Efficiency Polymer Photovoltaic Cells Using Solution-Based Titanium Oxide as an Optical Spacer, Adv. Mater. 2006, 18, 572–576
    · J. K. Kim, W. Kim, D. H. Wang, H. Lee, S. M. Cho, D.-G. Choi, J. H. Park, Langmuir 2013, 29, 5377 – 5382.
    · 주효숙, 임동혁, “점착물성과 접촉각의 관계”,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ol.6, No.1 (2005)
    · Jung Kyu Kim, Enhanced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Polymer BHJPhotovoltaic Devices from Dry Transfer of PEDOT:PSS, ChemSusChem 2014, 7,1957 – 196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