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청 수사국. (2016), 「보이스피싱, 누구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미래의 창
· 이순래, 박철현, 김상원. (2011),「범죄예방론」, 도서출판 그린
· 강동범. (2007), “사이버범죄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대책”,「형사정책」, 19(2): 44
· 김재광. (2012),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새로운 법적문제”, 「강원법학」, 36: 96
· 이철원·배병철. (2009), “사이버테러 동향 및 대응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5(2): 124
· 이훈재. (2009),“보이스피싱의 피해실태 및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17(2): 220
· 조호대. (2012), “보이스피싱 발생 및 대응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179
· 홍승희. (2010), “차명계좌를 중심으로 한 전화금융사기 법적 쟁점”, 「비교형사법연구」, 11(2): 31
· 강성복. (2013),“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 강일웅. (2016),“사이버범죄 특징분석 및 예방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김문희. (2016),“스마트폰 정보보안 위협과 보이스피싱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문현순. (2014),“VOIP에서의 보이스 피싱 대응방안”
· 이권수. (2006),“지능범죄에 대한 경찰수사력 강화방안”
· 이샤론. (2015),“전자금융사기의 법적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이현영. (2011),“사이버범죄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장현욱. (2013),“보이스피싱 예방방안 및 피해금 환급제도에 대한 연구”
· 정대용. (2014),“전자금융사기 예방서비스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정순채.(2012),“전화금융사기 등 정보통신망 이용 금융사기 대응방안 고찰”
· 한윤수.(2009),“VOIP에서의 보이스 피싱 대응방안”
· 허성욱.(2008),“국제 전화금융사기 범죄에 관한 연구”
· Reppetto, T.A. (1976),“Crime prevention and displacement phenomenon,” Crime and Delinquency 22.
· 「디지털타임스」, 정용철, 2015, “잠시후 본인확인 인증을… 카톡 위장 보이스피싱”
· 「매일경제」, 김태성, 2017,“카카오뱅크 출범 3주 만에 신규계좌 228만 건 …”
· 「비즈니스 포스트」, 서정훈, 2016,“간편한 카카오페이 이용자 1천 만 명 넘어서 …
· 「키뉴스」, 이호연, 2014,“터치 한번에 돈이 줄줄…”,
· 「KBS」, 홍성희, 2017,“발신번호 조작 돕는 별정 통신사 적발 …”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보도자료, 2013, 7면
· 경찰청, 2013, “사이버금융범죄의 유형별 발생현황”
· 경찰청, 2013, “스미싱의 발생건수와 피해액(2012-2013)
· 경찰청, 2015,“보이스피싱 발생·피해 및 검거 현황”
· 경찰청, 2007,“우리은행의 전화에 의한 사기 피해 및 조치 현황”
· 경찰청, 2014, “범죄통계연보”
· 경찰청, 2015, “범죄통계연보”
· 경찰청, 2016, “사이버 범죄 통계”
· 금융감독원, 2015,“2015 사이버금융범죄 연령별 분석 발표 결과”
· 금융감독원, 2015,“2015 1월~8월 피싱 피해 건수 분석 발표 결과”
· 금융감독원, 2016,“금융사기 유형별 비중추이”
· 금융감독원, 2016,“피싱 피해자 성별 분석 결과”
· 방송통신위원회, 2016,“2016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
· 수사연구, 2017.07. VOL405
· 수사연구, 2017.08. VOL406
· 안랩, 2013,“악성코드 폭증(2012-2013)”
· 한국은행, 2017,“2016년 국내 인터넷뱅킹 서비스 이용현황”
· 한국은행, 2017, “2/4분기 국내 인터넷뱅킹 서비스 이용현황 자료”
· 카카오, 2016, “2016년 2분기 실적보고서”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http://cyberbureau.police.go.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사이버범죄 분류”
· 금융감독원 <www.fss.or.kr>
· 금융감독위원회<http://phishing-keeper.fss.or.kr>, “보이스피싱 정의”
· 사이버 경찰청 <www.police.go.kr>
· 한국 인터넷 진흥원(KISA) <www.kisa.or.kr>
· 한국은행 <www.bo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