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홍, 『만화로 보는 미국』, 파주 : 살림출판사, (2005).
·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 민음사, (2004).
· 무어(A.), 기본스(D.), 『왓치맨』, 서울 : 시공사, (2008).
· 밀러(M.), 최원서 옮김, 『Superman : Red Son』, 서울 : 시공사, (2010).
· 박치완, 『이데아로부터 시뮬라크르까지』,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6).
· 박치완, 「상상력의 힘과 현대문명 비판」,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100권 0호, (2013), pp.43-65.
· 박치완,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은 정당한가?」,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 제 49집, (2014), pp.105-131.
· 박치완, 「글로컬시대, 문화 해석의 새로운 지평」,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철학탐구』 38집, (2015), pp.243-274.
· 안정아, 「슈퍼 히어로의 안티 히어로적 독법」,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제4권 제2호(통권 제6호), (2015), pp.205-207.
· 우지운, 노광우, 권재웅, 「대중문화에 재현된 동아시아 자본주의 사회의 담론 – 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 <타이거 앤 버니>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7호, (2014), pp45-82.
· 울프먼(M.), 페레즈(G.), 이규원 옮김, 『크리이시스 온 인피닛 어스 – 무한 지구의 위기』, 서울 : 시공사, (2012).
· 유서연, 「슈퍼히어로 캐릭터의 미국문화 상징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3), pp.324-327.
· 워드나우(R.), 헌터(J. D.), 버지슨(A.) 외, 최샛별 옮김, 『문화분석』,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5).
· 웨이드(M.), 로엡(J.), 모리스(T.) 외, 하윤숙 옮김, 『슈퍼 히어로, 미국을 말하다』, 서울 : 잠, (2010).
· 존스(G.), 이규원 옮김, 『그린랜턴 : 시크릿 오리진』, 서울 : 시공사, (2011).
· 쥬겐스(D.) 외, 이규원 옮김, 『제로 아워 : 크라이시스 인 타임』, 서울 : 시공사, (2012).
· 최영진, 「부유하는 기표로서의 영웅 – 다시 보는 크리스터포 놀런 감독의 배트맨 3부작」, 영미문학연구회, 『안과밖』 제33호, (2012), pp201-224.
· 캠벨(J.), 이윤기 옮김,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서울 : 민음사, (2007).
· 테일러(T.), 라팍(J.), 임태현 옮김, 『인저스티스 : 갓 어몽 어스 1』, 서울 : 시공사, (2016).
· 밀러(F.), 잰슨(K.), 발리(L.) 외, 김지선 옮김, 『배트맨 : 다크 나이트 리턴즈 1, 2』, 서울 : 세미콜론, (2014).
· 화이트(M. D.), 로버트 아프 엮음, 남지민, 신희승, 로버트 아프 외 옮김, 『배트맨과 철학 : 영혼의 다크나이트』, 서울 : 그린비출판사, (2013).
· 황준호, 「슈퍼맨과 미국의 신화」, 영미문학연구, 『안과밖』 제34호, (2013), pp.343-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