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영숙, 한국의 열녀전, 2008
· 김경미, 이해순, 한국의 열녀전, 월인, 2002
· 김경미, 19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모색 : 지식, 이념,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2011, 보고사
· 로이스 타이슨, 비평 이론의 모든 것, 2012
·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7
· 리타 펠스키,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 여이연, 2010
·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나남출판, 2004 2 쾌락의 활용, 나남출판, 2004
· 박희병, 정길수, 사랑의 죽음, 돌베개, 2007
· 서동진, 누가 성 정치학을 두려워하랴, 문예마당, 1996
· 유지나, 섹슈얼리티와 대중문화, 동인, 1999
· 윤채근,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월인, 1999
· 윤채근, 한문소설과 욕망의 구조, 소명출판, 2008
· 조혜란, 고전서사와 젠더, 보고사, 2011
· 조혜란, 옛 소설에 빠지다-금오신화에서 호질까지, 마음산책, 2009
· 테리 이글턴, 문학이론입문, 창비, 1989
· 토릴 모이,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1994
· 포스터,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0
· 한국고전문여성문학회, 조선시대의 열녀 담론, 월인, 2002
· 현길언, 한국 현대소설론, 태학사, 2002
· 홍나래, 박성지, 정경미, 악녀의 재구성, 들녘, 2017
· 강명관, 조선시대의 성담론과 성, 한국한문학연구 제42호, 2008
· 김경미, 조선후기 성담론과 한문소설에 재현된 섹슈얼리티, 한국한문학연구 제42호, 2008
· 박선희, 조선후기 열녀담론 연구: 열녀전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 윤채근, 조선 후기 남성훼절 서사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양상, 한국한문 학연구 제 42호, 2008
· 이유경, 여성영웅 형상의 신화적 원형과 서사문화사적 의미, 숙명여자 대학교, 2006
· 장장식, 신화를 통해 본 여성의 임무와 그 의미, 민속학연구 제3호, 1996
· 정병호, <심생전>에서 신분의 문제, <동방한문학> 8권0호, 1992
· 정은영, 조선후기 한문서사의 성 담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 진재교, 조선조 후기 문예공간에서 성적 욕망의 빛과 그늘, 한국한문학연구, 제42호, 2008
· 차선영, <오유란전>의 세태소설적 특성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