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10
30P 미리보기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4권 / 4호
    · 저자명 : 임종헌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과정
    Ⅳ. A중학교의 자유학기 운영 과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우리나라의 교육개혁 정책들은 교육현장과 괴리되어 형식주의와 디커플링 현상을 발생시켜
    왔다. 이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교육개혁 정책들이 학교 현장에 천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그러한 문제적 현상의 본질적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에 최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육개혁 정책인 ‘자유학기제’를 연구주제로 선정하여 A중학교
    의 자유학기 한 학기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
    에서 부각된 양가성 현상에 주목하였는데, 이 연구의 조작적 정의와 분석틀에 따르면, 양가성
    현상이란 기존의 가치, 사고방식, 행동양식의 유지하려는 ‘관성’과 개혁정책의 가치, 사고방식,
    행동양식을 추구하려는 ‘변화’가 구성원들에게 대립하면서 공존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연구결
    과, A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의 모습은 특징이 부각되는 시점에 따라 ‘두 마음의 시
    작’, ‘갈지자 걸음’, ‘절반의 성공’의 세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시기마다 학생, 교사, 학
    부모가 겪는 양가성 현상이 구조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양
    가성 현상의 이론적 의미를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와 교육개혁 정책에 대해 제
    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decoupling phenomenon
    derived from the gap between education policy reform and the policy practice in the
    field,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education police process. The decoupling
    phenomenon points to the phenomenon that the stakeholders seem to conform to the
    policy outwardly but still keep the existing practices inwardly. This phenomenon
    sometimes causes a optical illusion that the policy is well-implemented seemingly.
    For this reason, I chose to research on a reformative education policy,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intrinsic causes that result in the
    decoupling phenomenon, and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on “A” middle school
    for a semester.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ambivalence phenomenon emerging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 ambivalence phenomenon
    means the conflict and coexistence between inertia which tries to maintain existing
    values, ways of thinking and behavior, and 'change' which follows the values and
    ways of thinking and behavior of reformative policies among the members.
    This study describ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in
    “A” middle school and drew the the feature. The processes were classified as ‘the
    first meeting’, ‘adaptation’ and ‘incomplete success’ according to the flow of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program, and the ambivalence phenomenon
    experienced by students, teachers, parents were structured in each steps. The
    phenomenon like ‘still knowledge first’ vs. ‘now competence first’, ‘ school
    knowledge’ vs. ‘life experience’, ‘resting vs. linking’ were noticed in student group,
    and the ones like ‘the forced change’ vs. ‘the opportunity of change’, ‘risk aversion’
    vs. ‘risk acceptance’, ‘emulation’ vs. ‘distinction’ were showed in teacher group. The
    parents group experienced ‘uneasiness’ vs. ‘expectation’, ‘relying on private academy’ vs. ‘being free’, ‘my kid vs. our kid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e ambivalence phenomenon to the Free semester program, and described the
    implications to the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the ambivalence lense as a theoretical tool of analyzing the process of education
    policy reform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