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성서의 음악에 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1.20 최종저작일 1998.01
34P 미리보기
성서의 음악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3. 기대되는 결과 및 그 의의
    4. 용어 정의

    Ⅱ. 히브리 음악의 개괄적 고찰
    1. 히브리 음악의 악기에 대하여
    (1) 충격악기 (Percussive Instruments)
    (2) 관악기 (The Wind Instruments)
    (3) 현악기 (The String Instruments)
    2. 히브리의 音聲音樂과 樂器音樂
    (1) 음성음악과 악기음악의 관계
    (2) 음악 용어
    3. 히브리 詩의 구조
    (1) 히브리 시 구조의 內的 특징
    (2) 히브리 시 구조의 外的 특징
    4. 히브리 음성음악의 연주법
    (1) 先 연구를 통한 유추
    (2) 聖書를 통한 유추

    Ⅲ. 성서의 노래에 담겨있는 주요 사상
    1. 인간 생활과 연관된 노래
    (1) 생활 속의 용도별 분류
    (2) 생활 속의 용도별 분류에 다른 분석
    2. 종교적 노래
    (1) 종교적 노래에 대한 성서의 어휘
    (2) 종교적 노래의 내용별 분류
    (3) 종교적 노래에 대한 내용 분석
    1) 찬양에 대한 분석
    2) 찬송에 대한 분석
    3) 복음성가에 대한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논문 초록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성도의 전 생활의 규범은 하나님의 뜻으로부터 그 원칙이 인출되어야 하며 그 원칙은 성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성서는 사람의 삶의 목표가 하나님을 섬기며 그를 영화롭게 하는 것 그 외에 아무 것도 없으며 그것이 사람됨임을 가르친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 이후로는 그리스도께 영광을 돌림으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는 것이라고 밝히 말한다.
    선교 역사 100여 년에 이르는 한국 교회는 外的으로는 가히 놀라운 팽창을 하였다고까지 평가되고 있으나 靈的 低下度는 또 다른 면으로 놀라운 것이어서 신앙의 초보 단계라 할 수 밖에 없는 기복주의에 그대로 머물러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주 1)
    교회 음악에 있어서는 더욱 말할 것도 없어서 禮拜時 성가대의 찬양을 위한 곡으로 흑인영가나 복음송을 채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三位 하나님을 향한 영광송이나 찬양의 노래보다는 인간적 寧安이나 인간 동기의 기복적 내용의 노래들이 훨씬 많이 불리고 있다.
    要는 교회 음악계에 성숙한 복음과 가르침이 없고 성서적 원칙이 빈핍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 상황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여기서 성서에서의 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보았다.

    2. 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성서에서의 음악을 연구함에 있어 그 배경이 되는 히브리 음악을 개괄적으로 이해해 보고 인간 생활의 여러 가지 국면과 관련된 히브리 노래들을 용도별로 구별, 분석하여 그 노래들 속에 담겨 있는 주요 사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그리고 여러 문헌(이를테면 음악에 관계된 서적이나 신학에 관계된 서적, 혹은 사전 류등)과 몇 종류의 성서를 연구하는 방법을 택한다.

    3. 기대되는 결과 및 그 의의
    대수롭지 않아 보일 수 있는 민요 한 편이라도 그 노래가 정경에서 언급되기까지에는 나름의 분명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도달하는 결과는 아마도 한국 교회의 음악을 위해 건전한 방향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기독교대백과사전편찬위원회 (편), 『기독교대백과사전』 Vol.4, 9, 12, 서울: 교문사, 1985
    · 금수현 (편), 『음악대사전』, 서울: 미도 문화사, 1977
    · 김두완, 『기독교 음악』, 서울: 종로서적, 1984
    · 김상문 (편), 『새 백과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1959
    · 김정준, 『시편명상』, Vol., 1,2,3,4, 서울: CLSK 1979
    · 김정준, 김찬국, 박대선 (공저), 『구약성서개론』, 서울: CLSK, 1972
    · 김주병, 『성경전서』, 서울: 대한 성서 공회, 1981
    · 內村鑑三, 『성서 주해전집』, 제 1권, 이성호 (역), 서울:聖志社, 1977
    · 뉴톰슨 관주주석성경 편찬위원회 (편), 『뉴톰슨 관주주석성경』,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5
    · 대한기독교서회 (편), 『교회음악입문』, 서울: CLSK, 1976
    ·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서울:대한성서공회, 1981
    · 류형기(편), 성서주해 Vol. 2, 서울: 한국기독교문화원, 1978
    · 매튜 헨리, 『성서 주석 시리즈』 Vol. 2,5,10,17,19, 박근용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86
    · 서철원, 『하나님 나라의 건설』, 광주: 복음 문화사, 1985
    · 소안론, 『구약사기』, 서울:CLSK, 1975
    · 스콰이어, 럿셀 N., 『교회음악사』, 이귀자 (역), 서울: 메시야, 1984
    · 알멘 J.J. 폰, 『성서어휘사전』, 서울: CLSK, 1978
    · 알멘 J.J. 폰, 『예배학 원론』, 정용섭, 박근원, 김소영, 허경삼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9
    · 압바 R., 『기독교예배의 원리와 실제』, 허경삼 (역), 서울: CLSK, 1979
    · 애플바이, 데이빗 P., 『교회음악사』,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4
    · 예이츠, 카일 M., 『성서 히브리어 문법』, 김찬국 (역),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6
    · 원용국, 『구약사』, 서울: 성광문화사, 1977
    · 律川主一, 『敎會音樂 5,000年史』, 문덕준 (역), 서울: 에덴문화사, 1978
    · 이순한, 『성서히브리어』, 서울: 백합출판사, 1974
    · 이현경, 『성가대의 성서적 표준과 찬양내용의 현황 분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 장일선, 『구약성서의 문학』, 서울: CLSK, 1980
    · 정규남, 『구약개론』, 경기도: 개혁주의신행협회, 1986
    · 정인찬 (편), 『성서대백과』, Vol. 4,6,7,8, 서울: 기독지혜사, 1980
    · 조숙자, 조명자 (공저), 『찬송가학』,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 출판부, 1981
    · 칼빈, 존, 『구약성서주석』, Vol. 2,7,14, 존 칼빈 성경주석 출판위원회 (역편),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85
    · 칼빈, 존, 『기독교강요』, Vol. 1,2,3,4, 김문제 (역), 서울: 세종문화사, 1977
    · 칼빈, 존, 『신약 성서 주석』, Vol. 10, 존 칼빈 성경주석 출판위원회 (역편),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85
    · 해릴슨, W., 『구약성서의 예배』, 장일선 (역), 서울: CLSK, 1980
    · 핸드릭슨, 윌리암, 『은혜계약』, 오창윤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 현대기독교사전편집부 (편), 『現代基督敎辭典』, 東京: キリスト新聞社, 昭和 28年
    · Abba, Dov Ben (Ed.), The Signet Hebrew/English, English/Hebrew Dictionary,
    · U.S.A.: new American Library, 1977
    · Arndt, W. F. & Gingrich, F. W. (Ed., Tr.), A Greek-English Lexicon, U. S. A:1967
    · Armin, Haeussler, The Story of our Hymns, U.S.A.: Eden publishing House, 1952
    · Marshall, Alfred, (Tr.), The NIV interlinear Greek-English New Testament, N.Y.:1976
    · Old Testament Hebrew and English, London: The british & foreign bible society
    · Sadie, Stanley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Vol.6,7, Washington D.C., 198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