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근들어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부를 비롯한 법무부, 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관련 부처들이 다양한 대처방안을 내놓았으며, 특히 청소년보호위원회를 신설하여 학교폭력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학교폭력은 좀처럼 해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2013년을 기준으로 학교폭력의 실태를 살펴보면 비록 수치상으로는 약간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폭력의 정도가 점점 더 거칠어지고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해자의 피해가 점점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12.02 최종저작일 2015.10
19P 미리보기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 미리보기

    소개

    최근들어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부를 비롯한 법무부, 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관련 부처들이 다양한 대처방안을 내놓았으며, 특히 청소년보호위원회를 신설하여 학교폭력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학교폭력은 좀처럼 해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2013년을 기준으로 학교폭력의 실태를 살펴보면 비록 수치상으로는 약간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폭력의 정도가 점점 더 거칠어지고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해자의 피해가 점점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들어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부를 비롯한 법무부, 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관련 부처들이 다양한 대처방안을 내놓았으며, 특히 청소년보호위원회나 각종 위원회를 통하여 학교폭력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학교폭력은 좀처럼 해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2013년을 기준으로 학교폭력의 실태를 살펴보면 비록 수치상으로는 약간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폭력의 정도가 점점 더 거칠어지고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해자의 피해가 점점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신성철, 백석기, 2003).
    이제 학교폭력은 낙인 받고 있는 비행청소년들이 행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차원을 벗어나 학교에 다니는 일반학생들 사이에 공공연히 이루어지고 있다. 곽현미(2010)의 연구에 따르면 약 60%의 학생들이 언어폭력, 신체폭력, 집단따돌림, 금품갈취의 학교폭력 가해행동 유형 가운데 한 가지 유형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도기봉(2007), 김규학(2013), 배명옥(2013)의 연구 등을 살펴보면 약 40-50%%가 넘는 학생들이 다양한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교육부가 조사한 것과 수치상의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위의 연구자들이 교육부가 학교폭력으로 규정하는 것 보다 조금은 넓은 의미로 접근했기 때문이며, 경험까지도 학교폭력으로 규정하였기 때문이다. 비록 학교폭력을 광범위하게 표현한 수치이지만 학교폭력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은 불안과 걱정으로 학교생활을 안심할 수 없고, 부모들 또한 자녀를 학교에 안심하고 보낼 수 없는 것이 현실이 되어 버렸다.
    이제 학교폭력은 청소년들이 단순히 어린 나이이기에 할 수 있는 실수 같은 것이 아닌, 폭력, 자살, 금품갈취 등 명백한 범죄행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학교폭력에 대해서 다양한 부처에서 다양한 방법들로 많은 노력을 시도하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지 못하는 것이 실정이다.

    참고자료

    · 곽현미(2010). 아동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 · 가해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규학(2013). 청소년의 학교폭력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김명자(2002). 청소년의 학교폭력행위 예측모형 구축.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김미애(2008). 가정폭력 유발요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김민정(2010).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김재엽 · 송아영 · 한샘(2010). 청소년 자녀의 가정폭력목격경험과 자녀학대피해 경험 중복피해에 따른 우울 및 폭력비행행동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7(12), 1-26.
    · 김정란(2003). 청소년기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 중학생 자녀의 아내학대 목격과 자녀학대 피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71-180.
    · 김태화(2008).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또래집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 대학원.
    · 도기봉(2007).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도기봉(2008).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 22, 5-34.
    · 도기봉․이윤형(2009). 청소년의 교사체벌과 친구비행에 관한 간접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지, 15(3), 225-244.
    · 류재중(2001). 가정환경요인과 학교폭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박송지(2010). 중학생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학교폭력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 배명옥(2013).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 백욱현 · 손현규(2004).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폭력 수준과 불안, 학교적응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2), 45-80.
    · 신성철(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지, 23(1), 199-214.
    · 신성철, 백석기(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위론과 실천, 9(11). 345-362.
    · 오종은(2013).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윤인석(2008). 학교폭력 발생요인의 변화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덕진(2007).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남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이명자(2009).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배경 요인에 대한 질적분석 : 가정, 또래, 학교요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이상준(2005).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요인.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이승출(2011).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 이신옥(2002).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해리․조한익(2005).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연구, 16(2), 161-206.
    · 이혜란(2007).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 이희영, 이미연(2006).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 요소 탐색. 인문학논총, 11(2), 54-68.
    · 임순선(2012).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발달의 통합모형개발.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임희복(2003). 가정폭력 목격 및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혜은(2013). 특성화고 여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의 가해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친구관계 질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성근(2008). 초등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춘범 · 조남흥(2011).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8(4), 75-102.
    · 차애리(2009). 인터넷 중독, 가정폭력, 충동성과 학교폭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 한부자(2004).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인지도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 한상철, 김판희(2012). 유해환경에 대한 청소년의 자정능력 향상방안: 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청소년 문화포럼, 31, 124-170.
    · 한상철(2012).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미래청소년 학회지, 9(4), 240-244.
    · 한영숙(2013).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에 따른 학교폭력행동과 불안에 관한 연구 : 부모 간 폭력목격경험과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Acosta, O. M., Albus, K. E., Reynolds, M. W., Spriggs, D., & Weist, M. D. (2001). Assessing the status of research on violence-related problems among you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1), 152-160.
    · Ageton, S. S.(1983). Sexual assault among adolescents.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 Alschuler, C. F., & Alschuler, A. S.(1984). Developing healthy responses to anger : The counselor′s rol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3, 26-29.
    · Aryee, S., Fields, D., & Luk, V.(1999). A cross-cultural test of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Management, 25(4), 491-511.
    · Baldry, A. C., & Farrington, D. P.(1999). Brief report: Types of bullying among Italian school children. Journal of Adolescence, 22(3), 423-426.
    · Benter, P. M.(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 Briers& Runtz.(1990).Differential Adult Symptomatology Associatied with Three Types o fChild Abuse Histories .Child Abuse& Neglect,14, 357-364.
    ·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63(3), 425-459.
    · Giuliano, J. D.(1994). A pe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the use of conflict resolution skills among at-risk school age males. Public Health Reports, 109(2), 158-161.
    · Kumpulainen, K., & Rasanen, E.(2000). Children involved in bullying at elementary school age : Their psychiatric symptoms and deviance in adolescence. Child Abuse & Neglect, 24(12), 1567-1577.
    · Steinhausen, Hans-Christoph., & Metzke, C. W. (2001). Risk, compensatory,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3), 259-280.
    · Sullivan, C, J. (2010). Adolescent risk behavior subgroups: 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t, 39, 541-562.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