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창, 최인화, 박미진(2003),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성격특성과의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 홍혜영, 안혜선(2009), 고등학생의 완벽주의,불안과 진로미결정간의 관계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16(7), 149-175.
· 김효선, 이석준, 이현정(2008), 대졸예정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진로미결정 및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7-198.
· 한수정, 권석만(2010), 자기애자의 자기관련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 한국심리학회지, 29(4), 1136-1137.
· 오혜숙(2013),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신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승용(2006), 나르시시즘적 인격 장애에 대한 목회적인 돌봄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재용(2010), 에리히 프롬의 자기사랑에 관한 윤리적 고찰.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혜미(2013), 아동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정희(2014),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또래관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동수(1990),「나르시시즘의기원적측면」, 정신분석연구1(1), 155.
· 이재훈 역(2007),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서울: 한국 심리치료 연구소, 149-164
· 이만홍(1995),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에서의 나르시시즘의 이해, 정신병리학 ,1(1), 17.
· 김윤주, 한성열(1991), 자기애적 성격과 자기복합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991(1). 365-374
· 고혜진(2014), 장애 및 비장애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중독: 공격성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건희(2007), 자기애와 자기불일치 및 사회불안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진희(2006),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진옥(2009), 청소년의 내.외현적자기애와 자기개념명료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2007),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26(2), 463-477
· 백승혜, 현명호(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 27(4), 1001-1017
· 이민진(2012),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대인관계 양상: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2005),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24(2), 255-266
· 박세란(2004),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수정(1999),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외현적.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남운(2002),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13(2), 221-237
· 고향자(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한효정(2012),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내적통제성, 부적응적 완벽주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특성불안에 관한 구조방적식모형, 서울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김연숙(1991), 일 도시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신 건강과의 관계: 고등학교 남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金蓮淑 ,金志美(2001),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적 분석, 論文集-東南保健大學 19(2) 163-172
· 이현림, 송재영(2004),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5(2), 393-407
· 김성남, 정철영(2005),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139-159
· 손보영, 윤민지, 박소현, 임제희(2013),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 다중역할계획태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2), 1189-1208
· 금지헌(2012),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50(7), 59-66
· 이정애, 최웅용(2010), 장애 대학생과 비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진로포부 비교, 장애와 고용, 20(2), 55-76
· 심지연(2010),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 자기효능감, 진로 탐색활동 간의 관계연구: 항공‧관광관련학과 전공학생을 중심으로, 論文集-東南保健大學, 28(1), 13-28
· 이원숙(1992), 사회적 망, 사회적 지지와 임상적 개입의 이론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이재은(2009),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노하나(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내 석사학위 논문
· 김도희(2010), 노인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 내적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고명숙(2014),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김대성(2015), 고교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재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항위논문
· 김은석(2006),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국내석학위논문
· 김완수(200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 서지은(2014),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서울시립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박희순(2012),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Wanberg, C. R., & Muchinsky, P. M.(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71-80.
· Fuqua, D, R., Newman, J, L., & Seaworth, T. B. (1988). Relation of state and trait anxiety to different component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2), 154-158.
· Serling, D, A., & Betz, N, E. (198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asure of fear of commi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1), 91-97.
· Fuqua, D. R., & Harman, B. W. (1983).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dision.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2, 27-29
· Kernberg, O. F.,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Aronson (1975).
·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1).
· Harren, V.A.(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 Chartrand, J. M., & Camp, C. C. (1991). Advances in the measurement of career development constructs: a 20-year review.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1), 1-39.
· Gelatt, H. B. (1962). Decision-making: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9(3), 240-245.
· Holland, J. L., & Holland, J. E.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414.
· Jepsen, D. A., & Dilley, J. S. (1974). Vocational decision-making models: a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3), 331-349.
· Johnson, J. A. (1978). Individual styles of decision making: a theoretical model for counsel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1, 182-199.
· Jones, L. K. (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a revi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 –. The Career Decision Profi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477-486.
· Mitchell, L. K., & Krumboltz, J. D. (1984). Research on human decision making: implications for career decision making and counseling. In S. D. Brown & R. W. Lent,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New York: Wiley.
· Salomone, P. R. (1982). Difficult cases in career counseling: II. the indecisive client. Personnel & Guidance Journal, 60(8), 496-500.
· Parsons, F. (1967). Choosing a vocation. New York: Agathon Press.
· Wanberg, C. R., & Muchinsky, P. M. (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71-80.
· Savickas, M. L. (1995). Current theoretical issues in vocational psychology: Convergence, divergence, and schism.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2 ed., pp. 1-34). NJ: Eribaum.
· Vondracek, F. W., Hostetler, M., Schulenberg, J. E., & Shimizu, K. (1990). Dimension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1), 98-106.
· Vroom, V. H. (1965). Motivation in management. New York: American Foundation for Management Research.
· Schultheiss, D. P., Kress, H. M., Manzi, A. J., & Glasscock, J. J. (2001). Relational influence in career development: a qualitative inquir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9(2). 216-239.
· Tak, J. K., & Lee, K. H. (2003).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 328-345.
· Slaney, R. B. (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Career Decision Making (pp. 33-77). NJ: Eribaum.
· Osipow, S. H., Carney, C. G., & Barak, A.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 and 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 233-243.
· Fuqua, D. R., & Hartman, B. W. (1983).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2, 27-29.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 Cohen, C. R., Chartrand, J. M., & Jowdy D. P. (1995).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subtypes and ego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4), 440-447.
·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 Kaplan, B. H., Cassel, J. C., & Gore. S. (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 47-58.
·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