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혐오스피치의 자유와 스피치코드 논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5.12
18P 미리보기
혐오스피치의 자유와 스피치코드 논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2권 / 4호
    · 저자명 : 이종일

    목차

    I. 머리말
    II. 혐오스피치 개념과 연구 동향
    III. 스피치코드의 도입과 전개
    IV. 혐오스피치를 둘러싼 자유·평등 원리의 충돌
    V. 스피치코드 적용
    VI. 스피치코드의 적정성
    VII. 맺음말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혐오스피치의 규제에 관한 스피치코드가 단순히 언어문제가 아니라 소수자집단
    의 평등 차원에서 제기된 사회적 정의 문제임을 밝힘으로써 한국에서도 스피치코드의 논의가 필요함을 제
    안하는데 있다. 1960년대 미국의 다문화운동은 인종·계급·젠더 등에 대해 편견 문제를 제기하면서 활
    발하게 전개되었지만, 혐오스피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것으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1980년대 후반에
    이르면 정치적 올바름(PC)지지자들은 혐오스피치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는 대학에서 스
    피치코드 제정으로 나타났다. 이에 anti-PC지지자들은 수정헌법 1조를 근거로 하여 프리스피치를 주장하
    였다. 1987년 이후 두 진영은 스피치코드의 범위를 두고 치열한 논쟁을 하였다. 스피치코드의 범위는 대학
    에 따라 다르다. 오늘날 스피치코드는 두 방향에서 비판받고 있다. 하나는 스피치코드가 수정헌법 1조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기 때문에 인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이다. 다른 하나는 스피치코드의 필요성은 인정하
    지만, 그 범위가 광범위하며 표현이 모호하다는 비판이다. 따라서 스피치코드 제정에는 그 범위의 적정성
    과 표현의 명료함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며, 다문화교육 연구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ebate over speech codes in American universities which
    are not just measures for speech purification but ways of realizing social justice providing equal
    treat for the minorities, and to call attention to their importance in multicultural studies in Korea. In
    1960s multicultural movement in America became active protesting racial, sexual and cultural
    prejudices, but did not reach to the regulation of hate speech. In the late 1980s political correctness
    supporters argued for the regulation of hate speeches, which brought about enactment of speech
    codes. However, those who opposed to political correctness demanded the right of free speech on
    the basis of Amendment Ⅰ. In 1987 both groups had heated debate over speech codes and today
    most universities have their own speech codes of which scopes are different. Nowadays speech
    codes are criticized in 2 ways. One is that they are unconstitutional because they violate the right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other is that their scope is overwide and their expression is vague.
    Therefore mutual consent of both sides on the optinum of scope and clarity of expression are
    required to enact speech codes, and they are also needed in multicultural studi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