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학사상의 철학적 지반 -대표적 실학자인 반계, 성호, 담헌, 다산, 혜강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3.01
14P 미리보기
실학사상의 철학적 지반 -대표적 실학자인 반계, 성호, 담헌, 다산, 혜강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교육논총 / 50권 / 2호
    · 저자명 : 양태호

    목차

    Ⅰ. 서 언
    Ⅱ. 반계 실학의 철학적 기초
    Ⅲ. 성호 실학의 철학적 기초
    Ⅳ. 담헌 실학의 철학적 기초
    Ⅴ. 다산 실학의 철학적 기초
    Ⅵ. 혜강 실학의 철학적 기초
    Ⅶ. 결 어
    참 고 문 헌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실학사상의 철학적 논거가 되는 우주본체관과 인간관에 대하여 대표적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들의 공통적 학문 방향은 주자학의 반성을 거쳐 근본유학의 정신인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세계를 표방한 점이다. 그리고 현실
    대응론의 철학적 근거도 상당히 접근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들은 우주본체가 만유만화(萬有萬化)의 본원일체(本源一體)로
    서의 일자(一者: 氣, 太極, 紳氣)로부터 성립된 것이라는 관점에서 인간도 정신적 속성과 형질적 속성을 동시 동차적으로 간
    직한 존재로서, 이 두 속성을 조화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종래 주자학에서 파생
    되었던 차별적 평가와 대립적 규정은 비판·부정되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더 나아가서는 실학적 사유의 단초가 되어 도덕적인
    문제와 더불어 경세치용의 절실함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실학사상은 반계, 성호와 담헌에 의해 형성,전개되었으며, 다산에 의
    해 집성되었고, 혜강이 개화시대를 예비한 의미성을 제고시켰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d about typical 'Silhak Scholars yuzhoubentiguan' involved in basis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renjanguan'. Their common the pursuit of learning is 'neisheng waiwang' on
    self-reflection of 'Zhuzistudies fundamental Confucianism'. Besides, we looked for a philosophical ground
    of 'principle of response to reality'.
    They insisted that 'yuzhoubenti' is made by 'the One'('qi', 'taiji', 'shebqk henqi') as 'benyuanyiti' of
    'wanyouwanhua'. In this point, they thought that human also simultaneously and homogeneously have
    mental and physical attributes, so human must realize harmonious relation of its. On this philosophical
    thought, differential valuation and an opposing definition on the past 'Zhuzistudies' can not help being
    criticized, denied. This became begining of 'Silhaktic' thought, and then they felt the moral problem the
    needs of 'Gyongsechiyong'.
    This 'Silhak' thought was formed and developed by 'Panxi', 'Shenghao' and 'Tanxuan'. After this,
    'Chashan' aggregated, 'Huigang' reinforced the meaning on preparation of 'the age of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